미국 Fed, 9월 기준금리 '동결'…향후 전망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인상을 또 한 번 미뤘다. 올해 들어 가진 6번의 회의에서 모두 금리동결을 선택하며 연말로 공을 넘겼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윈회(FOMC)는 9월 정례회의를 마치고 현재 0.25~0.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시장은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측했다.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과는 달리 미국의 경기여건이 아직 미흡하다는 분석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주택지표는 호조세를 이어갔지만 산업생산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년 대비 1.1% 오른 소비자물가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기는 했지만 이 정도 수치로는 금리인상을 뒷받침할 수 없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Fed는 "Fed의 목표들을 향한 지속적인 진전의 추가 증거를 당분간 기다리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비록 실업률이 최근 몇달간 거의 변화가 없지만 고용 상황은 견고하고, 가계소비는 강하게 늘고 있지만 기업들의 고정투자가 약세"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미국 경제가 직면한 단기 위험요인들이 거의 상쇄됐다"며 "연방 기준금리의 인상 여건이 최근 강화됐다"고 밝혔다. 12월 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라는 평가다.

시장은 사실상 12월에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재닛 옐런 Fed 의장이 연내 금리인상에 대해 수 차례 밝힌 만큼 연내 최소한 한 번은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11월 FOMC는 미국 대선(11월8일) 직전 열려 금리 인상에 나서기 쉽지 않다.

금리인상 기대감에 강세가 이어졌던 달러화는 기세가 한 풀 꺾일 것으로 보인다. 12월 금리인상 이슈보다는 정책당국의 강달러 제어 노력과 미국 대선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대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높아진 금리 인상 기대감이 8~9월 달러 강세를 소환했다"며 "미 정책당국은 연내 금리인상 기조는 유지하되 달러화 강세는 막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미 정책 당국은 그동안 통화정책과 외환정책의 연계성을 약화시키려는 노력을 꾸준히 이어왔다. 제이콥 루 재무장관은 연초 이후 강달러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간접적으로 표현했고 Fed 위원들은 낙관적인 경제 전망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강세로 인한 수출 부진을 지적해 왔다.

대선 이슈도 달러화 약세의 재료로 분류된다.

서 연구원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모두 무역정책에 있어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있으며 강달러에 부정적인 입장"이라며 "이는 아시아 통화의 강세를 부추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시장이 9월 금리 동결과 12월 인상을 예상한 만큼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리 동결 영향이 이미 시장에 선반영된 데다가 시장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분석이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은 "Fed가 9월 기준금리를 동결함과 동시에 향후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신호를 강화했다"며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것으로 기준금리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동안 지수를 압박했던 경계심이 정점을 지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단기적으로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국내 증시도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준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FOMC가 종료되면서 안도랠리가 연출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접근해야 할 것"이라며 "기존 주도업종 내에서의 선별적 접근과 3분기 실적모멘텀(성장동력) 강화 업종 위주로 관심을 높여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