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품 지급 관련 규제가 풀리면서 유통업계에 고가 경품 경쟁이 다시 나타날지 주목된다.

대형백화점 등은 과거 수입차와 아파트 등을 경쟁적으로 내걸고 고객 유치전을 벌이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다소 주춤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0일 경품 가액과 총액한도를 규제한 '경품류 제공에 관한 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 및 기준 지정고시' 폐지안을 행정 예고했다.

이에 따라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추첨 등으로 제공하는 '소비자 현상경품' 관련 한도가 없어지게 됐다.

이미 상품 구매 여부와 무관하게 추첨으로 경품을 주는 '공개현상 경품'과 상품 구매 비용에 비례해 제공되는 '소비자경품' 관련 고시는 폐지된 상태다.

백화점 업계가 경품 규제 폐지에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매한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대형 경품 행사를 열면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품 마케팅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소비자 현상경품 한도가 폐지되면 소비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경품의 수와 종류가 늘어나 앞으로 다양한 경품을 통해 이슈화를 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객으로서도 실제 구매를 한 고객을 대상으로 경품이 주어지면 추첨의 범위가 좁아져 경품을 받을 확률이 높아지게 되므로 구매 참여가 유도된다"고 덧붙였다.

롯데백화점은 과거에도 경품 마케팅을 가장 활발히 펼쳐왔다.

2014년 여름세일에는 1등에게 10억원 상품권, 같은 해 가을세일에는 1등에게 5억원짜리 황금판(10㎏ 상당)을 경품으로 증정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경품 행사의 상한선이 없어지면 마케팅 측면에서 고객을 모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각도로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갤러리아백화점 관계자는 "경품 행사를 통해 소비 진작과 함께 충성 고객을 늘릴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모션을 다각도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 위주로 판매하는 대형마트 업계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 업계는 전반적으로 경품 행사를 하지 않는 추세여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백화점 등은 구매를 조건으로 경품 행사를 하는 '소비자 현상 경품'이 구매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경품 행사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경품 관련 규제가 폐지돼도 당장 마케팅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과거 비싼 경품을 내걸었을 때 사행심 조장 등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서 경품 행사가 많이 없어졌다"며 "경품은 극소수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어서 차라리 상품권이나 선물 증정 행사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면세점 경쟁이 격화되면서 면세점 업계에 경품 행사가 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12월 31일까지 응모를 거쳐 1명에게 1억원 상당의 선양(瀋陽) 롯데캐슬 아파트를 증정할 예정이다.

매장을 방문한 중국인은 구매와 상관없이 참여할 수 있다.

앞서 지난 4월에는 오스트리아·스위스 여행, 뉴욕 항공권·숙박권과 브로드웨이 뮤지컬 관람권 등을 주는 경품 행사 등을 열기도 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품 행사는 이번 고시 폐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경품 마케팅을 수시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문을 연 신세계면세점은 외국인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현금 1억원을 증정하는 행사를 진행 중이다.

내국인에게는 상품권 3천만원을 경품으로 내걸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이유미 기자 doub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