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완선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기금 규모 6년 후엔 1000조…해외자산 비중 확 늘려야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IO가 투자 책임자인데도 기금운용 수익률로 CEO 평가
각 역할에 대한 제도적 보완 필요
총소리 나면 움직일 방향 아는 '훈련된 전문성'이 CIO의 자질
각 역할에 대한 제도적 보완 필요
총소리 나면 움직일 방향 아는 '훈련된 전문성'이 CIO의 자질

홍 본부장은 26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510조원 수준인 국민연금기금 규모가 앞으로 6년 후 1000조원으로 불어날 예정이지만 운용 조직과 지배구조는 1998년 이후 18년간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홍 본부장은 이르면 이번주 후임 본부장 인사가 마무리되면 현직에서 물러난다.
ADVERTISEMENT
홍 본부장은 기금운용 전략과 관련, “현재 8 대 2 비율인 국내와 해외 자산의 비중을 빠른 속도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10%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만 70곳 이상인데 앞으로 6년간 100조원어치의 국내 주식을 더 사들여야 한다”며 “연금을 통해 기업 경영을 좌지우지하는 연금사회주의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정부에 대한 비판도 서슴지 않았다. 홍 본부장은 “(담당부처인) 보건복지부 실무자들은 복잡하고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제도 개편안을 윗선에 보고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며 “복지부가 제도 개선에 소극적인 주요 이유 중 하나”라고 꼬집었다.
ADVERTISEMENT
최고경영자(CEO)와 CIO의 역할에 대해서는 “법규상 CIO가 개별 투자에 최종 책임을 지고 있는데 기획재정부는 기금운용 수익률 항목으로 기관장(CEO) 평가를 하고 있다”며 “CEO와 CIO의 역할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후임 CIO의 자격 조건에 대해 “총소리가 나면 곧바로 움직일 방향을 알아차릴 수 있는 ‘훈련된 전문성’을 지녀야 한다”며 “누가 어디서 총을 쐈는지 알아보다 보면 투자할 수 있는 기회는 이미 사라진다”고 말했다. 이어 “기금운용본부의 최대 자산은 팀장급 이하 운용역”이라며 “내년 전주 이전을 앞두고 인력 이탈을 최소화하고 외풍으로부터 방패막이가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