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리에 모인 정상들 >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30일 프랑스 파리 르부르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했다. 총회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등 각국 정상들이 기념촬영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 한자리에 모인 정상들 >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30일 프랑스 파리 르부르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했다. 총회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등 각국 정상들이 기념촬영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프랑스 파리 중심부 북쪽에 있는 르부르제컨벤션센터. 중무장한 경찰의 삼엄한 경비 속에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반기문 UN 사무총장 등 150명의 각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였다. 교토의정서 대신 2020년부터 적용할 신(新)기후체제 출범 협상을 마무리하는 제21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개회식(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정상들은 돌아가면서 3~4분간 기조연설을 하며 미묘한 신경전을 벌였다. 유럽 국가들은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방안(INDC)’에 대해 국제법적 구속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세계 3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 중국 인도와 개발도상국들은 자발적인 이행 노력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 “개도국 지원해야”

박 대통령은 150여개국 정상들 앞에서 열 번째 기조연설자로 연단에 올랐다. 박 대통령은 “전 지구적인 의지와 역량을 결집해 이번 총회에서 신기후체제를 반드시 출범시켜야 한다”며 △에너지 신산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개도국과 새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적극 공유 △국제 탄소시장 구축 논의 참여 등 세 가지 방안을 통해 신기후체제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2030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전략’을 소개하면서 누구나 신재생 설비, 에너지 저장장치 등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저장한 전력을 팔 수 있도록 ‘전력 프로슈머(producer+consumer)’ 시장을 개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단계적으로 제로 에너지 빌딩을 의무화하고, 대형공장들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공장으로 모두 바꿔 나가고, 제주도는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를 100% 보급해 ‘탄소 제로섬’으로 전환하겠다고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이를 통해 2030년까지 100조원의 신시장과 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INDC를 달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새로운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을 녹색기후기금(GCF)을 통해 개도국과 적극 공유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국이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 역할을 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한국의 배출권 거래제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참여하는 국제탄소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국제 논의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파리,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

파리에 모인 150명의 각국 정상은 UN 총회를 제외하면 역대 최대 규모다. 프랑스는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에 들어갔다. 정상회의가 열린 르부르제컨벤션센터는 약 2800명의 중무장한 경찰이 에워쌌다. 또 기관총을 휴대한 5000여명의 군인을 파리 전역에 배치했다. 프랑스는 환경운동가들의 평화적인 시위도 전면 금지했다.

오를리공항, 드골공항, 르부르제공항 등 3개 공항과 파리 시내를 연결하는 간선도로는 이틀간 전면 통제됐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의 후 지난 13일 ‘이슬람국가(IS)’의 테러로 90명이 희생된 바타클랑 극장을 찾아 헌화했다.

파리=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