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석유화학업계와 조선업계의 구조조정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업종 역시 공급 과잉 및 경기 둔화의 직격탄을 맞아 불황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고 있어서다.

석유화학업계에 대한 구조조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해 ‘물밑’에서 이뤄지고 있다. 당초 업계 차원에서 LG화학 롯데케미칼 SK종합화학 등 주요 석유화학 기업 실무자들이 ‘석유화학 경쟁력 강화 민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달 한 차례 회의를 열기도 했지만, 공정거래법상 담합에 해당할 여지가 있어 이후에는 모임을 하지 않고 있다. 당시 기업 실무자는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가 되는 나프타 공동구매, 부두 및 저장시설 공동 이용 등을 통한 비용절감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현재 정부와 업계 사이에서 논의되고 있는 1차 ‘타깃’은 고순도 테레프탈산(TPA) 제조기업들이다. 한화종합화학 삼남석유화학 등이 주로 생산하는 TPA는 중국발(發) 공급 과잉으로 제품 가격이 급락하면서 해당 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다. 한화종합화학과 삼남석유화학은 상반기에 232억원과 150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이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으로는 물류 및 생산설비 공동이용 등 비용절감 방안이 우선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TPA 사업을 특정 기업에 몰아준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지만 해당 기업들이 적극 부인하고 나섰다.

조선업계 구조조정은 채권단이 관리하고 있는 중소형 조선사와 대형 조선사를 묶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성동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과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성동조선 경영정상화 지원을 위한 경영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최대 7년간 성동조선의 영업 구매 생산 등을 지원한다.

SPP조선과 STX조선 등 다른 중소형 조선사를 대형 조선사에 맡기는 방안도 채권단 내부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중소형 조선사의 주력 선종은 중국 조선사와 겹치는 경우가 많다”며 “중국 조선사에 비해 기술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대형 조선사가 중소형 조선사를 위탁 경영하거나 인수하는 게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병욱/송종현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