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FT 품은 日 닛케이] 닛케이 "일본어 벽에 갇힌 시장 넘겠다"…FT 인수로 글로벌화 베팅
23일 오후 10시30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인터넷판은 긴급속보로 ‘닛케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인수’ 기사를 내보냈다. 그 시간 FT의 인터넷판 톱기사 제목은 ‘독일 악셀 슈프링어, FT 인수하나’였다. 닛케이의 FT 인수 사실이 확인되자 FT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예상 못 한 소식에 영국은 물론 해외 미디어업계도 술렁였다.

영국의 한 방송사 앵커는 닛케이의 FT 인수 소식을 전하며 “일본 기업의 미국 뉴욕 록펠러센터 빌딩 인수가 연상된다”고 말했다. 1989년 일본 미쓰비시 계열 부동산회사는 ‘맨해튼의 심장’이라 불리는 록펠러센터를 14억달러에 사들여 미국의 자존심을 흔들었다. 그로부터 26년 만에 미디어업계에서도 일본 대표 경제매체인 닛케이가 언어와 문화가 전혀 다른 127년 전통의 영국 매체 FT를 인수하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5주 만에 신문사 최대 M&A 결정

닛케이는 영국 교육·미디어그룹인 피어슨으로부터 FT를 8억4400만파운드(약 1조50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신문사의 기업 인수합병(M&A) 중 역대 최고 금액이다. 2013년 제프 베저스 아마존 창업주가 워싱턴포스트(WP)를 인수하면서 지급한 2억5000만달러보다 5배나 많다. 이번 인수대상에서 FT 런던 본사 건물과 주간 이코노미스트 지분은 빠졌다.

뉴욕타임스(NYT)는 독일 최대 미디어그룹 악셀 슈프링어가 1년여 동안 끌어온 협상을 닛케이는 단 5주 만에 끝냈다며 전격적인 인수 분위기를 전했다. 이번 인수는 일본 안팎에서도 ‘깜짝 놀랄 만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일본어라는 벽이 만들어내는 좁은 시장에서 점유율 싸움을 해 온 경쟁사들이 충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닛케이가 이처럼 과감한 베팅에 나선 것은 글로벌화의 필요성과 더불어 살아나는 일본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배경에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다 쓰네오(喜多恒雄) 닛케이 회장은 24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경제 보도에 대한 독자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며 “서방과 아시아를 커버하는 진짜 글로벌 미디어로 성장하고 싶다”고 인수 배경을 밝혔다.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총리 경제정책)에 힘입어 일본 상장사들은 최근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해외 기업 사냥에 나선 결과, 올 상반기 일본 기업의 해외 M&A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60% 증가한 약 5조6000억엔으로 불어났다. 이날에도 일본 메이지야스다생명이 미국 생명보험사 스탠코프파이낸셜그룹을 6246억엔에 인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런 분위기가 일반 기업에서 미디어기업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일본 거품경제 붕괴 직전인 1989년 소니가 미국 컬럼비아픽처스엔터테인먼트를 사들이고 2004년에는 MGM을 약 50억달러에 인수하는 등 일본 미디어기업이 해외 M&A를 한 사례가 처음은 아니지만 이번엔 언론매체가 해외 대형 M&A에 나섰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끌고 있다.

◆미디어업계 재편 가속화될 듯

이번 인수는 닛케이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화와 글로벌화를 위한 ‘양수겸장(兩手兼將)’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문사의 디지털화는 디지털시대에 맞게 정보(콘텐츠)의 생산과 유통, 조직 등을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기다 회장은 “닛케이가 성장을 계속하려면 국제화와 디지털화가 빠져서는 안 된다”며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인터넷판을 중심으로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환해 온 FT가 최고의 파트너”라고 말했다.

닛케이의 FT 인수가 미디어업계의 또 다른 M&A를 자극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당장 FT가 절반의 지분을 갖고 있는 주간 이코노미스트지가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NYT는 블룸버그가 이코노스미스트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루머가 오랫동안 있었다며 최근 존 미클스웨이트 전 이코노미스트 편집장을 새로운 편집국장으로 영입한 사실을 소개했다. 미국의 대표적 산업 보고서인 IBI월드는 향후 신문업계가 자발적인 통합과 구조조정, 신기술 적응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진화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도쿄=서정환 특파원/뉴욕=이심기 특파원 ceoseo@hankyung.com
  • 공유
  • 프린트
  1. 1

    美 4월 소비자신뢰도 97.0...21개월만에 최저 기록

    미국의 4월 소비자 신뢰도는 에너지 가격과 고용 시장에 대한 우려, 정치적 요인까지 더해 3개월 연속 하락, 21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30일(현지시간) 컨퍼런스보드가 발표한 미국 소비자신뢰지수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3월의 수정된 103.1에서 이 달에 97.0으로 하락했다. 이는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경제가 좋아지고 있는지 나빠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소비자들이 6개월후를 내다보는 신뢰도는 전달의 74.0에서 4월에 66.4로 떨어졌다. 역사적으로 기대지수가 80미만이면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됐는데 현재 미국 경제가 평균 이상임에도 이 지수는 반복적으로 이 수치 아래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경제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조사한 수치도 142.9로 5개월만에 다시 최저치로 내려왔다. 이 날 발표된 고용노동부의 1분기 고용비용지수가 1년반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는 발표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은 일자리를 찾는 것이 더 어려워지는 것으로 느낀다고 밝혔다. 컨퍼런스 보드의 수석 경제학자인 다나 피터슨은 “에너지와 식품 가격 상승이 소비자의 우려를 지배했으며 정치와 중동 전쟁 등 갈등도 소비자 신뢰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소비자들이 “향후 사업 조건, 일자리 가용성 및 소득에 대해 우려하면서 4월 신뢰도는 더욱 하락했다”고 밝혔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2. 2

    아마존, 클라우드 수익에 '배당'도 새 관심사로 부상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폐장후 실적을 발표하는 아마존닷컴(AMZN)은 인공지능(AI)붐이 클라우드 사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는지를 보여줄 전망이다. 여기에 지난 주 알파벳도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발표한 후 1조달러 넘는 시가총액을 가진 기술기업중 유일하게 배당을 주지 않는 아마존에 대한 배당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미즈호 분석가 조던 클라인은 아마존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클라우드 사업자인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클라우드 사업의 높은 연간 성장을 보고했기 때문에 아마존에 대한 기대는 더욱 높을 수 있다. 시장에서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분석가들의 컨센서스인 13%를 넘는 연간 약 15%의 성장치를 기대하는 분위기이다. 한편으로는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 플랫폼처럼 자본지출 계획으로 주주들을 놀라게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분석가는 지적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컴퓨팅 및 광고 사업에 힘입어 1분기 매출이 12% 증가할 것으로 분석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한편 아마존은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 테슬라와 더불어 유일하게 배당을 주지 않는 주식이다. S&P500에서 시가총액 1조달러를 넘으면서 배당금을 주지 않는 유일한 회사이기도 하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은 물론 엔비디아도 배당금을 준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3월부터 배당을 시작했으며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지난 주 실적발표시 6월 17일에 첫 배당금 주당 20센트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로이터와 인터뷰한 매트릭스 에셋 어드바이저의

  3. 3

    FOMC 첫날, 임금인플레지표에 국채 급락·주식 하락 출발

    금리를 결정하기 위한 미연준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하루 앞둔 30일(현지시간) 예상보다 높은 임금 지표가 발표되면서 국채 금리는 5%를 돌파(=채권 가격 하락) 하고 미국 증시 3대 지수는 모두 하락세로 출발했다.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수익률이 전날보다 3bp(베이시스포인트) 오른 5.006%로 5%를 돌파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날보다 5bp 오른 4.661%를 기록했다. S&P500은 전날 보다 0.2%하락했으며 나스닥 종합은 0.3% 내렸다. 다우존스산업평균은 0.5% 하락했다.  개장전에 미국 노동부는 민간 근로자의 임금을 측정하는 1분기 고용 비용 지수가 1.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경제학자들의 예상치 1%를 넘고 2022년 3분기 이후 1년반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한 것이다.임금과 수당을 합친 고용비용은 1분기에 연율로 4.2% 증가했는데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연간 보상 증가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인 연 3% 미만으로 낮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개장전에 발표된 미국의 20대 주요 도시의 2월 주택가격지수인 케이스쉴러 지수가 전월보다 0.6%p 상승했다는 소식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다시 부각시켰다.  이에 따라 트레이더들은 최근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보고서로 1일로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FOMC후 발언이 더욱 매파적으로 기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CME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금리스왑거래자들은 이번주 들어 올해 25bp를 단 1회 인하한다는 것에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 블룸버그 달러현물지수는 0.4% 오르면서 모든 주요 통화에 대해 강세를 보였다. 이 날 실적을 발표한 기업가운데 비만치료제와 당뇨병 치료제를 판매하는 일라이릴리(LLY)와 코카콜라(KO)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