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주주 차별하지 말아야 기업공개 활성화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기업공개(IPO)가 급증할 것이라고 한다. 엊그제 한경이 주최한 ‘IPO엑스포 2015’에서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연내 신규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이 많아 IPO 건수가 200개까지 충분히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거래소 측은 올 신규상장이 2000년(255개) 후 최대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금까지 심사를 신청한 기업이 작년 같은 기간의 세 배라고 한다. 마침 주가도 오랜 박스권에서 벗어나 코스피지수는 거의 4년 만의 최고치이고, 특히 코스닥지수는 7년 만에 고점을 경신했다.
우량기업이 증시에 많을수록 자본시장이 튼튼해지고 실물경제도 잘 돌아가게 된다. 그런 점에서 기업공개가 몇 년째 침체상태였다가 지난해부터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친 기업공개 건수는 2010년 98건이던 것이 2011년 76건, 2012년 29건까지 급감했다가, 2013년 40건에 이어 지난해 78건으로 늘었다. 벤처기업 육성, 창조경제 활성화 같은 정부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그렇지만 온기라는 게 코스닥시장에 국한돼 있을 뿐이다. 대형 기업들이 중심인 유가증권시장은 나아진 게 별로 없다. 지난해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신규 상장기업은 7곳에 불과해 상장기업 수가 전년의 775개에서 772개로 오히려 줄었다. 상당수 유망 기업들은 아직도 상장을 꺼리는 것이다. 단순히 상장심사·상장절차 간소화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공시 의무 등의 부담만도 아니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외부인사로 이사회의 과반수를 채우고, 감사· 준법감시인까지 맡겨야 한다. 대주주 의결권 제한, 연봉공개 등 감당해야 할 규제가 한둘이 아니다.
툭하면 경영에 간섭하려드는 기관투자가와 당장의 고배당 외엔 안중에 없는 소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요구에 시달려야 하고, 적대적 M&A 위협에 대한 방어수단도 없다. 산더미 규제에다 경영권까지 내놓을 각오를 해야 한다. 메리트보다 비용이 훨씬 크다. 자본시장을 정상화하려면 무엇보다 기업을 세우고 키워온 대주주 지원제도를 갖춰야 한다. 지금은 지원이 아니라 차별과 징벌만이 기다리고 있다.
우량기업이 증시에 많을수록 자본시장이 튼튼해지고 실물경제도 잘 돌아가게 된다. 그런 점에서 기업공개가 몇 년째 침체상태였다가 지난해부터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친 기업공개 건수는 2010년 98건이던 것이 2011년 76건, 2012년 29건까지 급감했다가, 2013년 40건에 이어 지난해 78건으로 늘었다. 벤처기업 육성, 창조경제 활성화 같은 정부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그렇지만 온기라는 게 코스닥시장에 국한돼 있을 뿐이다. 대형 기업들이 중심인 유가증권시장은 나아진 게 별로 없다. 지난해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신규 상장기업은 7곳에 불과해 상장기업 수가 전년의 775개에서 772개로 오히려 줄었다. 상당수 유망 기업들은 아직도 상장을 꺼리는 것이다. 단순히 상장심사·상장절차 간소화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공시 의무 등의 부담만도 아니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외부인사로 이사회의 과반수를 채우고, 감사· 준법감시인까지 맡겨야 한다. 대주주 의결권 제한, 연봉공개 등 감당해야 할 규제가 한둘이 아니다.
툭하면 경영에 간섭하려드는 기관투자가와 당장의 고배당 외엔 안중에 없는 소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요구에 시달려야 하고, 적대적 M&A 위협에 대한 방어수단도 없다. 산더미 규제에다 경영권까지 내놓을 각오를 해야 한다. 메리트보다 비용이 훨씬 크다. 자본시장을 정상화하려면 무엇보다 기업을 세우고 키워온 대주주 지원제도를 갖춰야 한다. 지금은 지원이 아니라 차별과 징벌만이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