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비정규직 노조 파업 부결, 강경노선 변화 오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조의 파업 찬반투표가 부결됨에 따라 집행부의 입지 약화와 함께 기존 노선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는 지난 21일 파업투표 결과, 울산공장 조합원 총 795명 중 찬성 369명(46.4%), 반대 157명, 기권 267명, 무효 2명으로 부결됐다고 22일 밝혔다.
비정규직 노조는 지난해 정규직 인정 소송(근로자지위확인소송) 1심에서 승소한 이후 현대차를 상대로 정규직 전환을 위반 직접 교섭을 수차례 요청했으나 사측이 "항소 중인 사항"이라며 거부하자 지난 10일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사측을 압박해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겠다는 의도였다.
또 투표는 조합원들에게 현 집행부에 대한 재신임을 묻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올해 초부터 비정규직 노조의 일부 전·현 간부들이 대자보 등을 통해 현 집행부의 의사 결정에 대해 "외부세력이 개입하고 있다"거나 현 "집행부가 원칙만 고집하며 노조를 독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공개 비난하면서 노노갈등 양상을 보여왔다.
비정규직 노조 지회장은 투표를 앞두고 부결되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투표 결과 사측에 대한 협상력은 약화되고, 노조 집행부의 입지도 크게 흔들리게 됐다.
노동계 일각에서는 강경 투쟁보다 대화로 정규직화 방안을 마련하기 바라는 비정규직 조합원의 정서가 투표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지난해 8월 울산을 제외한 전주·아산공장 비정규직 노조가 사측과 '정규직화 특별채용 합의(8.18합의)'를 끌어낸 이후 정규직으로 채용된 사내하청 근로자가 1200명에 이르자 울산공장 조합원들도 대안 없이 투쟁만 고집하는 현 집행부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비정규직 노조의 한 관계자는 "투표 부결 의미를 파악하고 있다"며 "집행부 거취 등 많은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조합원의 진정한 뜻을 받아들이고 책임진다는 자세로 모든 것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노동계의 한 전문가는 "현 집행부가 유지되든, 새 집행부가 들어서든 강경 노선을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는 지난 21일 파업투표 결과, 울산공장 조합원 총 795명 중 찬성 369명(46.4%), 반대 157명, 기권 267명, 무효 2명으로 부결됐다고 22일 밝혔다.
비정규직 노조는 지난해 정규직 인정 소송(근로자지위확인소송) 1심에서 승소한 이후 현대차를 상대로 정규직 전환을 위반 직접 교섭을 수차례 요청했으나 사측이 "항소 중인 사항"이라며 거부하자 지난 10일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사측을 압박해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겠다는 의도였다.
또 투표는 조합원들에게 현 집행부에 대한 재신임을 묻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올해 초부터 비정규직 노조의 일부 전·현 간부들이 대자보 등을 통해 현 집행부의 의사 결정에 대해 "외부세력이 개입하고 있다"거나 현 "집행부가 원칙만 고집하며 노조를 독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공개 비난하면서 노노갈등 양상을 보여왔다.
비정규직 노조 지회장은 투표를 앞두고 부결되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투표 결과 사측에 대한 협상력은 약화되고, 노조 집행부의 입지도 크게 흔들리게 됐다.
노동계 일각에서는 강경 투쟁보다 대화로 정규직화 방안을 마련하기 바라는 비정규직 조합원의 정서가 투표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지난해 8월 울산을 제외한 전주·아산공장 비정규직 노조가 사측과 '정규직화 특별채용 합의(8.18합의)'를 끌어낸 이후 정규직으로 채용된 사내하청 근로자가 1200명에 이르자 울산공장 조합원들도 대안 없이 투쟁만 고집하는 현 집행부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비정규직 노조의 한 관계자는 "투표 부결 의미를 파악하고 있다"며 "집행부 거취 등 많은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조합원의 진정한 뜻을 받아들이고 책임진다는 자세로 모든 것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노동계의 한 전문가는 "현 집행부가 유지되든, 새 집행부가 들어서든 강경 노선을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