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과 현대경제연구원이 공동으로 조사한 ‘경제적 행복지수’에서 우리 국민의 행복지수가 여전히 100점 만점에 44.5점에 그쳤다는 것은 실망스럽다. ‘행복’은 정의부터가 쉽지 않다. 폴 새뮤얼슨은 행복을 ‘소유÷욕망’으로 정의하기도 했고, 각종 생활환경과 사회적 유대감 등을 기반으로 한 국민총행복(GNH) 같은 지수도 개발돼 있다.

한경과 현대경제연구원이 상정한 경제적 행복지수는 경제적 안정(소득 안정성), 경제적 우위(상대적 경제 상황), 발전(생활수준 향상 가능성), 평등(경제적 평등도), 불안(물가 실업률 등 외부요인) 등 5개 항목과 전반적인 경제적 행복감을 물어 지수화한 것이다. 경제적 안정의 경우 ‘내 노후의 경제상황은 안정적일 것 같다’는 질문에 ‘그렇다’면 100점, ‘반반’이면 50점, ‘아니다’면 0점을 주어 가중평균을 낸다. 행복지수 44.5점이면 중간점수에 못 미치지만 2007년 조사 이래 최고 점수이고, 2013년 하반기 이후 세 반기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간점수도 안 된다고 실망할 일도, 개선되고 있다고 좋아할 것도 아니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 지금으로서는 더욱 중요한 것 같다. 행복지수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것은 ‘경제적 평등’과 ‘경제적 불안’ 항목 때문이다. 평등은 ‘우리 사회는 지금보다 경제적으로 평등해질 것이다’에 답하는 것인데 27.6점에 그쳤다. 불안은 ‘물가, 실업률이 나를 불안하게 한다’는 질문인데 불안하지 않다를 100점이라고 할 때 31.1점밖에 안 된다. 경제적 평등은 심리적인 면이 큰 데다 정치적 이슈여서 쉽게 해결하기 어렵지만 불안은 일자리 창출 등으로 개선할 여지도 없지는 않다.

이번 조사에선 고졸자들(45.0)의 경제적 행복지수가 처음으로 대졸자(43.8%)를 제쳤고, 60대 이상의 행복도(44.9)가 높아졌다는 의미있는 결과도 있었다. 이 설문조사는 8년째 계속되고 있다. 2007년 하반기 첫 설문조사가 이뤄졌던 당시는 39.9점에 불과했다. 미세하지만 줄곧 개선되고 있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