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에서 운영하는 노산우산공제 출범식 모습.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운영하는 노산우산공제 출범식 모습.
‘노란우산공제’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공제 제도다. 소기업과 소상공인 사업자를 폐업이나 노령화 등에 따른 위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금융 지원제도로 발전시키겠다는 뜻에서 ‘노란우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2007년 9월 노란우산공제 판매를 시작한 지 7년이 지난 현재 49만명에 달하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 사업자가 가입했다. 50만 가입자와 누적액 3조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중기중앙회 측은 “노란우산공제가 사업자들 사이에서 ‘꼭 필요한 제도’라는 입소문이 나면서 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노란우산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면서 “노란우산이라는 이름이 갖고 있는 의미를 실현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가입자는 매해 30%씩 증가하고 있다. 금융계에서도 예상하지 못했던 증가 추세다.

‘사회안전망’ 역할 톡톡

노란우산공제가 이처럼 뜨거운 관심을 받게 된 이유에 대해 관련 업계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만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이라는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퇴직금과 국민연금이라는 두 개의 사회안전망이 갖춰져 있다. 하지만 그동안 소기업과 소상공인 사업자들은 퇴직금이라는 안전망 없이 국민연금에만 의존해 왔다. 폐업이나 노령화 같은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뾰족한 묘안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노란우산공제가 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사업 재기를 돕고 생활의 안정까지 지원하는 역할을 하면서 과거 취약점을 보완했다.

300만원까지 추가 소득공제

소기업·소상공인 위한 '안전망'…노란우산공제 가입자 50만 눈앞
노란우산공제는 금융 상품성도 뛰어난 편이다. 연간 300만원까지 추가로 소득공제가 가능해 125만원까지 절세할 수 있다. 금리로 환산하면 40% 넘는 이율이다. 납입부금에 연복리 이자율을 적용, 목돈 마련이 가능해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압류 양도 담보 등이 금지돼 있어 가입자가 사업에 실패했을 때도 최소한의 생활안정과 사업재기를 위한 자금 확보가 가능하다. 가입 후 2년간 단체상해보험에 무료로 가입되고, 돈이 긴급하게 필요할 때 부금 내에서 대출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부가서비스 혜택을 제공한다. 노란우산공제는 전국 주요 휴양시설과 업무제휴를 통해 가입자들이 휴양시설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통신사와 제휴를 맺고 가입자 전용 휴대폰 요금제를 도입해 회원들의 통신비 부담을 절감했다.

자산운용수익률 4% 넘어

이 공제 제도의 올해 자산운용수익률은 4%를 넘었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요즘같이 금리가 낮은 시대에 4%대의 수익률을 낸다는 것은 뛰어난 성과”라고 말했다. 노란우산공제는 고수익 고위험 상품 투자에 제한이 있는 제도의 태생적 한계 속에서도 우량채권 등 안전자산 위주로 자금을 운용해 안전성과 고수익을 동시에 달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기중앙회 자산운용 관계자는 “2015년 4조원 시대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자산을 전략적으로 배분해 대체투자, 저위험 주식관련 투자 등 최적의 투자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운용할 계획”이라며 “가입자들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나눔정신 실현하는 ‘해피비즈라이프’

노란우산공제 가입자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상부상조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해 ‘해피비즈라이프(Happy BizLife)’라는 이름의 지원단을 구성했다. 이 단체에는 1400여명의 노란우산공제 가입자가 활동하고 있다. 공제의 상부상조 정신을 바탕으로 한 자발적인 참여로 꾸려졌다. 다른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고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올해는 30회에 걸쳐 ‘작은 교실’을 열어 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세무회계 인사노무 법률 등의 분야에서 노하우를 알려주고 상담해 줬다.

황윤하 중기중앙회 노란우산공제사업본부 전무는 “내년에 가입자 60만명을 돌파하고 부금 누적 조성액은 4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노란우산공제가 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든든한 사회안전망으로서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 확대 등 제도를 개선하고 생활 밀착형 부가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하기 위해 국회 및 정부와 긴밀히 협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