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이상 장수하는 초일류기업으로 도약하려면 글로벌 장수기업들의 성공요인과 이순신 장군의 현장 리더십을 거울삼아 더 많은 변화와 혁신이 필요합니다."

21일 GS그룹에 따르면 허창수 회장은 19∼20일 강원 춘천 소재 엘리시안 강촌리조트에서 GS 출범 10주년을 맞아 '장수기업에서 배우는 지속성장 전략'을 주제로 열린 'GS 최고경영자 전략회의'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2005년 그룹 출범 이후 매년 한 차례씩 열려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이번 'GS 최고경영자 전략회의'에서는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 사업본부장 등 60여 명이 참석해 지속성장하는 장수기업이 되기 위한 전략이 논의됐다.

허 회장은 "잘 나가던 기업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고 오늘의 성공 공식이 내일에도 적용된다고 보장할 수 없기에 변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냉정한 현실 인식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GS그룹도 치열하게 경쟁하며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아직 제대로 그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자평했다.

그는 이어 "많은 장수기업들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선제적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시장을 선도할 새로운 사업기회를 만들어내고 있고 아울러 건강한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을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리 성능 좋은 하드웨어라도 이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이끌어 주지 않으면 제대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면서 개방성과 유연성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창의력과 팀워크가 발현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답안으로 제시했다.

허 회장은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이순신 장군은 10여 척의 전함으로 300여 척의 적선에 맞서야 하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지만 울돌목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현장에서의 솔선수범을 통해 아군의 전력을 극대화시켜 크게 승리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GS도 환경변화에 대비하고 현장 중심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구성원의 역량을 극대화하면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더라도 이를 이겨내고 탁월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아울러 "GS만 성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혁신과 성장의 과실을 사회 전체와 나눠야 한다"며 GS가 연계하게 될 전남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모든 계열사들이 중소·벤처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구체화하고 상품 개발과 판로 확보를 지원할 것을 지시했다.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세계 최장수기업중 하나인 제약회사 노바티스의 최장수 CEO였던 대니얼 바셀라 전 회장과 최근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에 내정된 서동록 맥킨지 한국지점 서울사무소 파트너 등의 강연과 토론이 이어졌다.

이들 전문가는 듀폰, 월마트, 방시 등 장수기업의 공통적인 성공요인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지속 성장을 추진하면서도 감내하기 어려운 과욕 억제,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적극적 대응, 성과와 조직건강의 균형 유지 등을 꼽았다.

반면 코닥, 유니언 카바이드, 리먼 브러더스 등 외부 환경의 빠른 변화 속도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거나 내부 조직 건강의 균형이 깨진 기업들은 예외 없이 장수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