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8일 청와대에서 10대 그룹 총수들과 오찬을 하기로 한 것은 여러모로 의미가 크다. 총수들을 별도 초청해 갖는 회동이다. 그것도 1주일 정도 여유밖에 없는 상황에서 급하게 결정됐다. 경제살리기에 대한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함께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위기의식도 읽힌다.

해당 그룹들도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통령이 투자와 고용 등을 직접 챙긴다고 하니 그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실제 청와대는 대통령이 총수들에게 투자와 고용확대를 당부하고 독려할 것이라며 내심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기대도 크지만, 걱정되는 대목도 없지 않다. 대통령의 말 한마디는 아무리 좋은 의도라도 감당하기 힘든 무게가 실리기 마련이다. 과거 이런 자리가 일단 주요 그룹들의 투자 목표치를 더 올려 발표하게 만드는 이벤트로 귀결됐던 것도 그래서다. 만나서는 뭔가 잘될 것 같은 상황이 연출되지만, 돌아선 뒤에는 공허한 결과만 남겼던 것은 너무 익숙한 풍경이다.

경제현안 하나하나가 결코 쉽지 않은 과제다. 미국 일본 유럽 등도 안간힘을 쓰지만 별로 성과가 없어 고심하는 정도다. 그런데도 한국은 계속 역주행이다. 대통령이 경제민주화 법안이 마무리됐다며 앞으로 국정운영은 경제살리기라고 천명한 지 오래지만, 정부 부처들이 이를 공유하고 있는지조차 의문이다. 신규 순환출자 금지 같은 법안들이 대기 중인 속에서 국민연금으로 기업을 압박하려는 시도들이 줄을 잇고, 상법개정안 소동까지 벌어진다. 기업들이 투자할 대상도 마땅치 않지만, 투자할 여건은 더더욱 못된다. 미국 주지사까지 찾아와 자동차 공장을 지어달라는데, 정작 국내에선 일감을 발로 차는 파업이 벌어진다. 통상임금은 여태 교통정리가 안됐다. 이런 판에 주요 대기업들은 경영권을 지키는 데 급급해야 할 처지이니 말도 안된다.

이번 회동은 대통령이 말하기보다 경청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 대통령이 기업들이 차마 말 못해왔던 깊은 속사정까지 듣고 깊숙이 논의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29일 중견그룹 대표들과의 회동 역시 마찬가지다. 대통령이 믿음을 주면 기업들은 길을 찾을 것이다. 아직 기회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