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에게 "4대강 탓 녹조 악화" 보고하더니…근거는 못 내놓은 환경장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학계도 결론 못낸 사안
환경부의 말 바꾸기가 '4대강 혼란' 가중시켜
환경부의 말 바꾸기가 '4대강 혼란' 가중시켜

윤 장관은 지난 6일 국무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녹조 현황, 관리 계획 등을 보고할 때 녹조의 원인으로 4대강 사업 당시 만들어진 보(洑·물막이 둑)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수치 등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ADVERTISEMENT
4대강 사업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부는 물론 학계에서도 아직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녹조의 경우 수온, 일사량, 강수량, 유속 등 변수가 많아 결정적 요인을 찾기가 더욱 어렵다.
민경석 경북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보를 설치한 지 2년밖에 되지 않아 4대강 사업으로 녹조가 더 생겼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며 “정확한 연구 결과 없이 4대강 사업과 녹조를 연관시켜 말하는 것은 경솔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환경부의 ‘말 바꾸기’는 예전에도 논란이 됐다. 지난해 8월 환경부는 공식 자료를 통해 “낙동강 보는 댐과 달리 물을 가두는 것이 아니라 수량을 확보하면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조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6일 기자브리핑에서 환경부 관계자는 “4대강 사업으로 보가 많아져 부분적으로 녹조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며 말을 뒤집었다. 대통령이 바뀐 뒤 4대강 사업에 대한 환경부의 태도가 돌변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ADVERTISEMENT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