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연봉랭킹 '오해와 진실'…기준 바뀌면서 SKT·LG상사 '수직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사이드 Story
성과급·수당 모두 포함…월급 명세서에 찍히는 돈
복지비·퇴직금 제외로 삼성전자는 오히려 줄어
성과급·수당 모두 포함…월급 명세서에 찍히는 돈
복지비·퇴직금 제외로 삼성전자는 오히려 줄어
같은 기준으로 LG상사 직원 연봉도 2011년 5397만원에서 지난해 9051만원으로 뛰었다. 50위권 밖에서 일약 연봉 ‘빅5’ 반열에 올랐다. 반대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삼성전자의 직원 평균 연봉은 7760만원에서 6970만원으로 뒷걸음질쳤다.
ADVERTISEMENT
그러나 작년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올해부터 기준이 통일됐다. 기업들이 소득세법 20조에 따라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가 핵심 지표다. 기본급과 정기 상여금을 합산한 단순 인건비 위주에서 직원들의 월급 명세서에 찍히는 실제 근로소득 기준으로 바뀌었다.
여기엔 성과급도 들어가고 연월차수당이나 초과근무수당 같은 부대 수입도 포함된다. 2011년에 비해 지난해 연봉이 대폭 늘어난 곳은 대부분 성과급 비율이 높은 기업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SK텔레콤과 LG상사가 대표적이다.
ADVERTISEMENT
직원들의 평균 근속 연수 역시 고려되지 않았다. 연봉 순위 2위인 현대자동차(9433만원) 직원들은 평균 17.5년을 근무한 데 비해 5위인 LG상사 직원들은 평균 5.9년만 일했다. 현대차 부장과 LG상사 대리 급여를 비교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매년 5%가량 급여가 인상된다고 보면 LG상사 부장의 평균 연봉은 1억5000만원이 넘는다.
사업보고서상 연봉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삼성전자는 2011년 이전부터 초과이익분배금(PS) 같은 성과급을 직원 평균 급여에 반영했다. 오히려 2011년까지는 해마다 회사를 그만두는 직원들에게 준 퇴직금을 직원 평균 급여에 합산했지만 작년부터는 규정에 따라 총급여지출액에서 퇴직금을 제외했다. 1년 새 사업보고서상 연봉이 800만원 가까이 줄어든 이유다.
ADVERTISEMENT
정인설/장창민 기자 surisuri@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