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등 주요 공직 인선이 또 미뤄진다고 한다. 언론의 단골 헤드라인은 ‘이르면 오늘 인사’이지만 여전히 감감무소식이다. 취임식(25일)까지 20일도 안 남았는데 단 한 자리도 임명하지 못한 상태다. 총리 후보 낙마로 불거진 인사청문회 공포증 탓에 공직을 맡겠다는 인물이 없다는 소리도 들린다. 하마평과 설왕설래만 무성할 뿐, 당선인 측은 초읽기에 몰리도록 장고만 거듭하는 실정이다.

물론 인사가 만사다. 특히 새 정부의 조각(組閣) 인사는 5년 임기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다. 노무현 정부가 코드인사로, 이명박 정부가 보은인사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던 선례는 더할 나위 없는 반면교사다. 그런 의미에서 박 당선인이 측근·공신을 배제하고 신중히 고르려는 노력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하지만 너무 늦다. 당장 오늘 총리를 지명해도 인사청문회법상 임명동의 기간(20일)을 보장할 수 없다. 각 부처 장관들을 임명하고 청문회를 거치려면 야당이 협조한다 해도 내달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새 대통령이 상당기간 MB정부의 장관들을 앉혀놓고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진풍경이 벌어질 판이다.

새 정부 인사가 꼬인 데는 청문회 공포도 있겠지만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도 한 요인이란 시각이 많다. 총리 후보자 낙마도 밀봉인사, 깜깜이인사, 나홀로인사 탓이라는 지적이 전혀 틀렸다고 볼 수 없다. 국민이 불안해 할까 봐 인사 보안에 철저했다는 그만큼 검증은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지금 국민이 진짜 불안해하는 것은 설익은 인사설이 아니라 주요 공직에 단 한 명도 임명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당선인의 수첩 속에서 정부 조각 인사가 가능할 수는 없다. 수첩 속 인물들이라야 대개는 당선인과 정치적 인연이 있는 경우로 봐야 할 것이다. 정부 인사는 정당 인사와는 차원이 다르다. 대통령은 경쟁후보를 찍은 국민 48%도 감싸안아야 할 정부를 이끌어가는 자리다. 다소 부담이 있더라도 폭넓게 인재를 구하는 것 외에는 달리 해법이 없다. 야권 인사라고 못 쓸 이유도 없다. 대선 승리 직후 대탕평이라던 화두는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고 청문회 통과가 지상과제가 된 현실이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