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통상 새 정부의 내각 및 청와대로 향하는 관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인수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비전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중책을 맡는다는 점에서 내년들어 점차 윤곽을 드러낼 `박근혜 정부'의 내각ㆍ청와대 인선시 `1순위 후보'로 꼽힌다.

따라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인수위 구성을 위한 막판 인선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27일 발표할 일부 인수위원의 면면에 관심이 모아진다.

`박근혜 정부'의 첫 얼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인수위와 정부ㆍ청와대의 역할이 다르므로 인수위 인선과 정부ㆍ청와대 인선을 일부러 연결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전문성에 인선의 방점을 둔 박 당선인이 길게 볼 것이고, 자연스럽게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 역대 정권에서도 인수위원들의 활발한 정부ㆍ청와대 진출이 이뤄졌다.

지난 2003년 초 노무현정부 출범 당시 인수위에 참여한 인수위원들은 대거 정부ㆍ청와대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김진표 인수위 부위원장은 조각 명단에 재경부총리로 이름을 올렸고 외교안보분과 윤영관 간사는 외교장관, 경제1분과 허성관 인수위원은 해양수산장관, 사회문화분과 권기홍 인수위원은 노동장관으로, 경제1분과 이동걸 인수위원은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됐다.

또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중용한 일부 인수위원은 `대통령 국정어젠다'를 구현하는 위원회를 맡았다.

추후 교육부총리까지 지낸 정무분과 김병준 간사는 정부혁신ㆍ지방분권위원장을, 기획조정분과의 성경륭 인수위원은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이종오 국민참여센터 본부장은 정책기획위원장으로 발탁됐다.

정무분과 윤성식 인수위원은 감사원장으로 내정됐으나 국회에서 인준안이 부결됐으며, 이후 정부혁신ㆍ지방분권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인수위원들의 청와대행(行)도 두드러져 경제1분과 이정우 간사는 청와대 첫 정책실장으로, 추후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기획조정분과 이병완 간사는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으로, 외교안보분과 이종석ㆍ서주석 인수위원은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로 각각 자리를 옮겼다.

조각을 비롯한 첫 인선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경제2분과 김대환 간사는 추후 노동장관에 임명되는 등 노무현정권의 `인재풀'에 포함돼 정부 및 청와대 요직에 두루 배치됐다.

지난 2008년 이명박정부에서도 같은 양상이었다.

다만 같은 해 4월 총선을 앞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인수위원 중 일부는 정부ㆍ청와대가 아닌 여의도행을 택하기도 했다.

경제1분과의 강만수 간사는 이명박정부 첫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백용호 인수위원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임명됐고, 정무위원회 남주홍 인수위원은 통일장관에 내정됐다.

여기에 인수위원은 아니었지만 사회ㆍ교육ㆍ문화분과 유인촌 자문위원과 취임준비위원회 최시중 자문위원도 각각 문화체육관광장관, 방송통신위원장 등에 임명됐다.

청와대로 직행한 인수위원은 기획조정위원회 곽승준 인수위원(국정기획수석), 사회ㆍ교육ㆍ문화분과 이주호 간사(교육과학문화수석), 정부혁신규제개혁TF 박재완 팀장(정무수석),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대변인) 등이다.

인수위 공동부위원장을 지낸 김형오 의원은 18대 국회 출범과 함께 국회의장으로 선출됐고, 윤진식 부위원장은 추후 청와대 경제수석에 발탁된 데 이어 추후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했다.

동시에 정치인 출신 인수위원인 진수희, 박진, 최경환, 박형준 위원 등은 여의도로 발길을 돌렸다.

이명박정권에서도 인수위 참여인사들은 꾸준히 `인재풀'로 활용돼 외교ㆍ통일ㆍ안보분과 현인택 인수위원은 통일장관을 지냈고, 법무ㆍ행정분과 정동기 간사는 청와대 민정수석을 거쳐 감사원장에 내정되기에 이르렀다.

이달곤 인수위원과 기획조정위원회 맹형규 간사는 각각 행정안전장관으로 발탁됐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