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16대 대통령선거에 비해 올해 수도권 유권자 비중은 늘어난 반면 영남과 호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 30대 유권자는 10년 전과 비교해 9.5%포인트가량 줄어들었으나 50대 이상은 10%포인트 가까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지역별, 세대별로 달라진 인구 분포가 오는 12월19일 실시되는 18대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번 대선 유권자 명부가 내달 20일께 확정되기 때문에 가장 근접한 올해 4·11 총선 당시 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비교했다.

2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4·11 총선 때 전체 유권자는 16대 대선에 비해 519만여명 늘었다.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유권자 비중은 16대 대선 때 47%(전체 유권자 3499만1529명 중 1644만521명)에서 17대 대선에선 48.6%(1827만9694명)로 증가했다. 지난 4·11총선 땐 49.3%(1982만7757명)로 전체 유권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영남 유권자의 비중은 16대 대선(27.5%) 때보다 올해 1.3%포인트 줄었다. 호남은 16대 대선 11.2%→17대 대선 10.5%→4·11 총선 10.1%로 감소했다. 충청과 강원, 제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세대별로 가장 뚜렷한 특징은 야권에 우호적인 젊은층은 줄고 장년과 노년층은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4·11 총선 때 19세와 20, 30대 유권자 비중은 38.8%였다. 16대 대선(48.3%·19세는 유권자에서 제외됐음)에 비해 9.5%포인트 줄었다.

반면 올해 50대 이상은 10년 전에 비해 551만여명(9.9%포인트)이나 늘었다. 50대 이상이 1575만3358명으로 30대 이하(1560만8460명)를 추월했다. 40대의 비중은 10년간 0.4%포인트 줄었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50대 이상이 크게 늘었다는 것은 야권에 불리하지만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상대적으로 약세인 수도권의 유권자가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특정 후보에 대한 유·불리를 따지기 쉽지 않다”며 “투표율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6대 대선에 비해 17대 대선 때 20대(56.5%→46.6%)와 30대(67.4%→55.1%)의 투표율은 크게 떨어졌다. 야권이 2030세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투표 시간 연장을 주장하는 것은 이 같은 상황 인식 때문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