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대학생 취업 디딤돌] 합격자 20%가 30세 이상…글로벌 역량과 보험지식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부화재 하반기 입사 Q&A
“보험은 약장사가 아닙니다. 사람과의 소통은 말이 아니라 진정성이요, 공감입니다. 사람에게 진실되게 다가가는 사람을 원합니다.”
‘보험은 사랑입니다’라고 운을 뗀 김춘곤 동부화재 인사지원팀장은 “보험사에서 원하는 인재는 진실로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전공-학점-어학-자기소개서다. 전공을 불문하고 모든 지원자에게 똑같은 기회를 준다. 다만 지원직무와 관련한 전공은 서류전형에서 만큼은 우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품개발과 같은 직무는 수학·통계학 등 전공 등을 우대하고 있으며, 다만 이후 면접과정에서는 크게 고려되지 않는다. 이른바 명문대생들도 서류 전형에서 많이 탈락하고 있는데, 서류 전형에서는 채용계획 인원의 7~8배수를 선발한다.”
▷명문대생은 어떤 이유로 떨어지나.
“출신 대학보다는 개개인의 기본 역량을 중시한다. 회사에서는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협업을 할 수 있는 소통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다. 주어진 틀 속에 있기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한 사람이 회사에서도 역량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주어진 문제상황에 대한 해결책, 열정을 발휘해 성취한 노력과 경험, 지원직무와 동기에 대한 설득력 있는 PR 등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8개 직무별로 모집하는데, 직무와 적합한 전공, 학점, 어학, 자격증, 자기소개서 등 항목별로 20~30%의 가중치를 둔다. 어학, 성적 등은 점수가 높으면 그 노력을 인정해 높은 점수를 준다. 재도전자들은 필터링을 통해 기회를 박탈하기보다 과거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다시 한 번 기회를 주기 위해 노력한다.”
ADVERTISEMENT
“전공은 안 본다. 다만 관련 전공자보다 지원 직무와 관련해 더 많이 준비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영어성적을 보는 이유는.
“동부화재는 국내를 넘어 세계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신입사원부터 글로벌 역량을 가진 보험전문가를 육성하려는 의도다.”
ADVERTISEMENT
“1차면접 주안점은 보험지식에 대한 능력검증이다. 일정 과제를 주고 프레젠테이션을 본다. 2차면접은 사장님을 비롯 임원 5명이 인성, 기업관, 가치관, 태도, 자세를 본다. 이력서의 스펙은 안 본다.”
▷PT를 통한 보험의 전문성을 얼마나 보나.
“보험의 개념을 모르는 사람을 입사시킬 순 없다. 동부화재에 대한 지식과 보상과 관련된 이슈가 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열린채용을 한다는데.
“취업재수생, 고시생, 다른 기업퇴사 직원 등 이들에게도 기회를 준다. 상반기 합격자 중 30세 이상자가 20명이나 됐다.”
ADVERTISEMENT
“상당수는 현장 영업지점장이나 부지점장으로 배치된다. 지점장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내면의 인품이 중요하다. 단지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진정성을 지녀야 한다. 보험은 약장사가 아니다.”
▷취업을 위해 휴학을 많이 한다.
“휴학을 하고 졸업했더라도 문제 삼지 않는다. 우린 스펙에 집중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업 후 사회경험을 한 뒤 밑바닥부터 경험하면 성장할 여지가 많다. 졸업을 앞두고 1~2년은 첫 시작을 어디서 할까 고민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너무 길면 안좋다.”
▷남자가 많다고 들었다.
“영업관리와 보상관리 등 현장 직무의 특성이 있어서다. 지난해 하반기 공채는 54명 중 4명이 여자였고, 영업·보상 직무를 제외하면 20명 중 4명인 셈이다. 대졸 정규직 중 여직원 비율은 10% 정도다.”
▷인적성의 비중은.
“인적성에서 10% 전후로 불합격자가 나온다. 인성은 참고자료일 뿐이다. 적성은 언어-수리 추론인데 하위 점수자를 가려낸다.”
▷면접 때 지원자들의 실수가 있다면.
“신입 순수연봉이 4686만원이다. 큰 액수다. 이 정도의 연봉을 회사에서 주기에 간절함, 절실함이 있어야 한다. 면접대기 중엔 예의있는 모습을 보여달라.”
▷석ㆍ박사에 대한 가점은.
“석사는 서류전형 때 5% 가점을 받는다.”
▷지방대생은 대기업 입사가 어렵다는데.
“딱히 지방대생이라고 불이익은 없다.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의 지원자 규모가 7 대 3 정도다. 최종합격자의 비율도 7 대 3 정도인데, 지원자 규모를 안보고 최종 합격자 비율만 놓고 보기에 그런 오해가 생기는 것 같다.”
▷취업준비생에게 하고 싶은 충고는.
“취업을 최종 목표로 삼아 적성과 관계없는 지원에 에너지를 쏟지 않았으면 좋겠다. 대신 자신이 정말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올인하면 좋을 것 같다. 지원직무에 대해 분석해라. 필요역량이 뭔지 파악하고 과거경험을 통해 본인의 장단점은 뭔지 진솔하게 피력해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