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앞다퉈 경제민주화 법안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의 의식과는 거리감이 있었습니다. 국민들은 경제민주화보다 안정된 물가와 일자리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경제민주화와 복지 공약을 내세우고 있지만 국민 눈높이와는 현격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은 차기 정부의 중점 추진과제로 경제민주화나 복지 확대보다는 물가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올해 우리 경제가 3% 성장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응답자의 36%는 물가 안정을, 32%는 일자리 창출을 꼽았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정치권의 뜨거운 이슈인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는 후순위로 밀렸습니다. 실제 고용과 물가는 실물지표와 체감지표 사이 괴리감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상반기 45만 건의 일자리가 만들어졌지만 청년실업률은 여전히 8%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은 취업준비생과 구직 단념자를 포함한 실질 청년실업률은 20%가 넘습니다. 체감물가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전기 등 공공 요금인상에 이어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제곡물가격 상승세도 심상찮습니다. 서민들은 선거를 앞둔 포퓰리즘성 복지 공약이 아닌 물가안정과 고용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의 일관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인철입니다. 이인철기자 icle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양쪽 입으로 우유 먹고…머리 둘 아기 또 태어나 `충격` ㆍ인도 붉은 비… "자연재해의 징조?" ㆍ머리에서 손톱이 자라는 희귀병 20대女 `생지옥` ㆍ싸이 씨스타 패러디, 옆트임 스커트까지 완벽 ‘각선미가…’ ㆍ강남스타일 2탄, `오빤 딱 내 스타일` 이번엔 현아가 주인공~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인철기자 icle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