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과 날줄] 배우면서 걸으면 즐겁지 아니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는만큼 보이고 누린다는 여행
강원도 숲속엔 '바우길' 이어져…대학문 활짝 열려 즐거움 더해
이순원 < 소설가 lsw8399@hanmail.net >
강원도 숲속엔 '바우길' 이어져…대학문 활짝 열려 즐거움 더해
이순원 < 소설가 lsw8399@hanmail.net >
근래 몇 년 주말마다 강원도 고향에 내려가 온전히 두 발로 걸어다니는 여행길로 ‘바우길’을 탐사하고 있다. 처음 길을 낼 때는 길을 찾아오는 사람들의 휴식과 건강을 먼저 생각했다. 그런데 시골 마을 사이를 잇는 옛길을 탐사하다 보니 길이 지나는 마을의 활기를 찾게 하는 일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길 위의 행인들이 붐벼 길이 빛나는 게 아니라 그들이 지나는 마을이 예전처럼 살아나야 길이 빛나는 것이다.
ADVERTISEMENT
바로 지역사회 대학과의 협력이다. 처음엔 지역에 있는 대학의 교수들이 주말마다 바우길을 걸으러 나왔다. 길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길과 마을이 또 길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서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대학 총장도 본인을 누구라고 밝히지 않고 다른 참여자들과 똑같이 점심을 싸들고 여러 번 길 걷기에 참여했다. 그러던 어느날 대학과 길 단체가 함께 힘을 합쳐 공동으로 지역사회의 상징과도 같은 길 하나를 더 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의해 왔다.
우리나라엔 지역마다 대학이 있지만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동은 빈번하게 이뤄져도 사실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교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어떤 경우는 지역사회와 대학이 서로 담을 쌓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자기가 사는 지역에 어떤 대학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지역사람들도 그 대학 출신이 아니면 자기지역 대학을 늘 담장 밖에서 바라보기만 할 뿐 캠퍼스 안으로 한번 들어가볼 기회도 없다. 지자체와 대학의 관계도 그러하고 지역주민들과의 관계도 그러하다. 그런 차에 정말 뜻밖의 제안이었다.
ADVERTISEMENT
출발지를 학교 앞으로 할 것인가, 캠퍼스 안으로 할 것인가를 정할 때도 학교가 지역사회에 대해 문을 닫지 않고 안으로 들어오라고 활짝 문을 열어주었다. 이 길로 지역주민들이 가벼운 운동복 차림이나 일상복 차림으로 이웃 나들이하듯 학교 안으로 편한 마음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에 걷기 좋은 길들을 찾으려들면 또 얼마나 많겠는가. 당장 바우길만도 대관령에서부터 경포대와 정동진을 잇는 10여개의 코스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대학과 지역사회 단체가 서로 스밈과 소통의 조화로 함께 만들어낸 길은 이것이 처음이다. 어쩌면 세계에서 처음일지 모른다. 대학 캠퍼스 안에서부터 출발해 젊은이들의 낭만이 함께하는 대학 원룸촌을 지나 유네스코가 선정한 인류문화유산 도시 강릉의 자연과 역사와 미래를 함께하는, 강릉 선비문화의 종합선물세트와 같은 길이다.
ADVERTISEMENT
이순원 < 소설가 lsw8399@hanmail.net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