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은 이날 밀레니엄 포럼을 통해 한강변 재건축, 용산국제업무지구, 뉴타운 등 ‘뜨거운 감자’로 꼽히는 서울지역 대규모 개발예정부지에 대한 소신을 명확히 드러냈다.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경우 주민들에게 정확한 사업정보를 알려주고, 각자 의사대로 결정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사업의지가 강한 곳은 지원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여러 가지 행정절차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는 압구정동, 여의도 등 한강변 재건축 추진 지역(전략정비구역)에 대해 “이미 채산성이 악화돼 사업을 계속 추진할 동력이 약해졌다고 본다”면서도 “정확한 실태조사를 통해 분담금 등이 얼마인지를 파악한 뒤 주민들에게 사업진행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용산국제업무지구에 편입된 서부이촌동 문제와 관련해서도 “코레일 측에 개발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얼마를 보상해줄지 정확히 밝히라고 지시했다”며 “이를 근거로 주민 투표 등을 통해 지지가 많은 구역은 사업을 계속 추진하도록 행정지원을 해주고, 반대가 많은 곳은 개발구역해제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권 등 재건축예정단지는 “재건축 추진 자체에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한마디로 그럴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도시개발이란 게 한번 이뤄지면 백년, 천년 남는 것이어서 선진국 못지않은 주거단지로 만들기 위해 많은 것을 의논하고 살펴보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데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또 재개발 등 도시개발방식에 대해 “건축가와 도시계획가 등 전문가들이 지역특성·조합원 자산보호·미래가치 등을 조화롭게 반영해 단지계획을 세우는 방식이 일반화돼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