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음악 산업 발전 세미나 열려

음원 종량제가 도입되면 소비자들이 더 저렴하게 음원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음원 서비스 사이트 '소리바다'의 양정환 대표는 30일 마포구 상암동 CJ E&M 미디어힐에서 음악산업선진화포럼의 주최로 열린‘2012 디지털 음악 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종량제가 도입되면 실 소비자 패턴에 맞춘 다양한 상품이 구성돼 오히려 월정액 대비 저렴한 선택 기회가 소비자에게 주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종량제가 도입되면 음원 감상 가격이 10배 이상 비싸진다는 여론은 현재의 고착된 획일적 상품에 맞춰진 단순 비교로 말미암은 오해"라고 일축했다.

이번 세미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음원 구매 때마다 돈을 내는 '음원 종량제'를 골자로 한 음원 사용료 징수 규정 개정안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열렸다.

기조발제한 김민용 경희대 교수는 "현재 월 정액 상품 평균 단가는 곡 당 63.9원으로 일반 다운로드의 단가인 곡당 321.2원에 비해 현저히 낮다"며 "결국 권리자의 희생이 따라야 하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그는 "권리자의 희생과 디지털 음원 시장을 왜곡하는 월 무제한 상품을 퇴출하고 적정한 수준의 징수료를 정해 음원 서비스 가격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원제작자 입장인 KMP 홀딩스 이승주 이사는 신탁단체의 음원 사용료 징수 규정 개정 추진안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제작자로서는 판매 대비 높은 투자비 회수를 통해 양질의 음악 상품을 재생산할 수 있는 선순환 동력을 얻어야 한다"며 "현재 신탁단체의 추진안은 기존의 한정된 소비자 가격 내에서 이해 당사자 간의 수익배분을 논하는 방식이 여전히 존재하기에 결국 이용량 증가가 매출로 연결되기 불가능한 구조를 만든다"고 지적했다.

또 CJ E&M 유통사업 이동헌 부장은 "현재의 징수 규정 탓에 사업자 간 똑같은 상품만 구성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며 "이는 결국 디지털 음악시장 파이가 정체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종량제 형태의 합리적 최소공급단가가 설정돼야 하고 음원 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무제한 서비스 상품 대신 공정 경쟁을 통한 다양한 상품이 개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이창희 미러볼뮤직 대표, 음악평론가 박은석 씨 등이 토론자로 나서 음원 시장의 천편일률적인 판매 구조와 한국 가요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CJ E&M 음악사업부문 안석준 대표는 "IT 기술 발달로 음원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디지털 음악 시장의 향후 10년을 좌우할 음원 사용료 징수 규정 개정에 앞서 업계 관계자들의 입장과 의견을 듣는 것은 중요하다"며 세미나의 의의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hrse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