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이란 리스크' 대비 서둘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핵문제로 서방국과 갈등 격화
제재 앞두고 유가급등 움직임
에너지절약·효율성제고 힘써야
이성한 < 국제금융센터 소장 >
제재 앞두고 유가급등 움직임
에너지절약·효율성제고 힘써야
이성한 < 국제금융센터 소장 >
전 세계 석유 매장량 측면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중동지역에서 석유패권주의와 이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빈발하는 것은 그래서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영국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사에 따르면 2010년 말 기준 중동지역의 확인 매장량은 7525억 배럴로 전체의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와 베네수엘라 등을 포함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매장량은 1조684억 배럴로 그 비중이 무려 77%에 달한다.
ADVERTISEMENT
미국 등 서방국들의 이스라엘 지지에 반발해 아랍 산유국들은 원유수출금지라는 초강수로 맞대응했고, 당시 전 세계 생산량의 7%에 해당하는 물량이 공급 차질을 빚으면서 유가가 6개월여 만에 4배 이상 급등했다. 석유의 무기화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이후 중동지역에서의 분쟁은 직·간접적으로 석유자원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은 말할 것도 없고, 2003년 이라크 전쟁도 표면적으로는 대량살상무기 제거가 목적이었지만 서방국들의 석유자원 선점이 내면에 깔려 있다는 음모론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ADVERTISEMENT
사실 시장 수급에 여유가 있고 산유국들의 여유생산능력이 넉넉하다면 이 정도 공급차질 우려는 충분히 상쇄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석유 블랙홀’인 신흥국의 등장으로 타이트한 수급 여건이 일상화됐고, OPEC의 전 세계 수요 대비 여유생산능력 비율도 2~3%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소규모 공급차질에도 유가가 크게 흔들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7월이면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제한 조치와 유럽연합(EU)의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조치가 시행된다. 이란과 미국의 대립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전개된다면 그 결말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계절적으로 석유수요가 늘어나는 여름철에 이런 사태가 현실화한다면 석유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무덥고 힘든 시기를 겪지 않을까 우려된다. 에너지 절약 및 효율성 제고, 해외유전 확보, 대체에너지의 적극적 개발 등 대안 마련에 온 힘을 쏟아야 할 시기이다.
이성한 < 국제금융센터 소장 zzooc@kcif.or.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