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호주나 뉴질랜드처럼 통일된 지역복지센터 모델은 없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별 특성에 맞는 복지 전달 체계를 만들어 주민 만족도를 높이는 곳도 있다.

서울 노원구가 대표적이다. 노원구는 임대아파트가 밀집해 있어 기초생활수급자나 장애인 등 복지 수요자 비중이 서울 평균 대비 두 배 정도 높다. 총 예산 4070억여원 중 복지 예산이 2100억원에 이른다.

먼저 호주와 비슷한 '종합복지센터'를 구축했다.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장애인지원과를 만들었고 고용노동부의 고용상담센터도 설치했다. 또 지역주민과 학교,종교단체,법률사무소 등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주민협의회'를 만들었다.

행정직을 복지직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전체 인원의 12% 정도였던 복지 공무원을 17% 수준으로 늘렸다. 복지직은 가능한 한 현장에 배치했다.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는 동시에 부정 수급자 관리도 강화하기 위해서다. 송해욱 노원구 주무관은 "현장을 자주 찾고 기존 수급자에 대한 사례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만족도를 높이고 부정 수급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도 우수 사례로 꼽힌다. 넓은 지역과 많은 인구를 감안해 지역을 도시형 농촌형 도농복합형으로 나눴다.

또 민간 사회복지관,정신보건센터,아동센터 등과 연계해 도내 시 · 군별로 '무한돌봄센터'를 만들었다. 경기도는 이 센터에 각 분야 민간 전문가를 직접 고용하고 있다. 역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