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성형 전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세기 탐미주의 운동의 대표자로 꼽히는 영국 작가 오스카 와일드(1854~1899)는 장편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 아름다움, 특히 젊음의 아름다움을 이렇게 찬양한다. 그는 그러나 그같은 청춘이 얼마나 빨리 사라지는지,그랬을 때 결과가 얼마나 끔찍할지 경고한다.
ADVERTISEMENT
누구도 바꿀 수 없는 것으로 알았던 외모와 세월의 흔적은 20세기 들어'움직일 수 있는'게 됐다. 1 · 2차 세계 대전은 성형의 개념을 부상으로 망가진 얼굴뿐만 아니라 마음에 안드는 얼굴을 고칠 수도 있는 것으로 변화시켰다. 미용 성형은 안되고 재건 성형에 국한시켜야 한다던 주장은 2차 대전 후 중요한 건 외양보다 환자의 심리라는 쪽이 힘을 얻으면서 종결됐다.
외과적으로 어디까지가 수술 대상이냐를 따지기보다 수술하는 당사자가 필요하다고 느끼느냐 여부가 판단 기준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미용 성형에'칼을 사용하는 정신의학'이란 별칭이 생겨난 것도 이런 까닭이다.
ADVERTISEMENT
성형외과에서 환자의 수술 전후 사진을 공개한 것은 초상권 침해라는 판결이 나왔다. 같은 사실도 본인이 털어놓는 것과 뒷담화를 통해 전해지는 것은 전혀 다르다. 했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것과 전후 사진이 공개되는 건 다른 문제다.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도 그렇다. 의사만 본다지만 언제 어떻게 유출될지 모르는 세상이다. 환자의 의료정보 보호는 의사의 기본적 직업 윤리다.
박성희 수석논설위원 psh77@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