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22일(현지시간)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5%p 내린 2.8%로 낮췄다. 1월에만 해도 이 수치는 3.3%였다. 한국은 2%에서 1%로 절반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미국,중국 등 전세계 대다수 국가의 성장률 전망치도 대폭 내렸다. 10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높아진 미국 관세의 영향을 언급하며, 무역 긴장이 더 고조되면 성장이 더 둔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의 관세에 따른 경제 성장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돼 1월 전망치 2%에서 1%로 크게 낮아졌고 일본은 1월전망에서 0.5%p 낮춘 0.6%로 예상됐다. 미국 성장률 전망치는 0.9%p 낮춘 1.8%로, 2026년 성장률 전망치는 0.4%p 낮춘 1.7%로 하향 조정했다. 중국은 올해 0.6%p 내린 4%, 유로존은 0.2% 낮아진 0.8% 로 전망했다. 트럼프 관세 이후 성장률이 가장 크게 하향조정된 곳은 멕시코로 1.7% 줄어 올해 -0.3%로 경기 침체를 격을 것으로 전망됐다.IMF 수석 경제학자 피에르 올리비에 구랭샤는 “IMF가 미국 경기 침체를 예상하지는 않지만, 경기 침체 가능성이 약 25%에서 37%로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또 관세와 서비스 부문의 기저 강세로 올해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1월 전망치보다 1%포인트 높은 3%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관세의 영향으로 인플레이션은 올해 전세계 평균 4.3%, 2026년에는 3.6%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국과 여러 나라들간의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 불확실성이 커지고, 금융 시장의 변동성도 확대돼 금융이 긴축될 것”이라며 복합적 효과로 세계 경제 성장 전망이 더 낮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는 성장 전망이 약해지면서 달러에 대한 수요는 이미 감소했지만, “
한국이 멕시코 태국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를 상대로 벌이는 관세 전쟁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예측됐다. 대미 무역 의존도가 높을수록 더 큰 피해를 본다는 이유에서다. 중국보다 미국의 성장률 둔화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 국가들이 받는 충격파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무역 갈등으로 세계 소비·투자 위축IMF는 22일 공개한 ‘4월 세계 경제 전망’에서 세계 주요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을 줄줄이 하향 조정했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로 전망했다. 지난 1월의 2% 성장 전망을 3개월 만에 절반으로 낮췄다. 내년 성장률도 1월 전망치(2.1%)보다 0.7%포인트 낮은 1.4%로 제시했다.다른 나라의 성장률도 대부분 내려갔다. IMF는 올해 세계 성장률을 3.3%에서 2.8%로 낮췄다. 글로벌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올해 성장률은 각각 1.8%, 4.0%로 낮춰잡았다. 3개월 전과 비교하면 미국은 0.9%포인트, 중국은 0.6%포인트 내려갔다. 유럽 국가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덜했다.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주요 유럽 국가도 전망치가 0.2~0.5%포인트씩 떨어졌다.IMF는 “무역 갈등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을 성장률 조정의 원인으로 제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이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분석한 것이다. IMF는 “소비와 투자 위축, 재정·통화 정책 여력 부족, 금융과 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 등을 세계 경제를 둔화시킬 위험 요인”이라고 경고했다.IMF는 이번 분석에서 기존의 단일 전망 대신 전망 기준일에 따라 다른 전망치를 내놨다. 미국 정부가 발표한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에서 1%로 하향 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으로 주요국 성장률 전망을 줄줄이 끌어내린 가운데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측했다.IMF는 22일 발표한 ‘4월 세계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2.8%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1월 전망치(3.3%)를 3개월 만에 0.5%포인트 낮췄다.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1.0%로 애초 전망 대비 반토막 냈다. 정부(1.8%)와 한국은행(1.5%)은 물론 주요 민간 연구소 전망치보다도 낮은 수준이다.한국의 성장률 하락 폭은 세계 주요국 중 멕시코(1.7%포인트)와 태국(1.1%포인트) 다음으로 컸다. 멕시코와 태국은 미국의 관세장벽으로 중국의 우회 수출 제조기지로서의 경쟁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다. IMF는 유례없는 관세정책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되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은 2.7%에서 1.8%로 0.9%포인트 하향했다. 미국과 보복관세를 주고받는 중국 성장률도 4.6%에서 4.0%로 내렸다.IMF는 “무역 갈등으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는 등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관세쇼크' 현실화…올 韓 성장률 하락폭 전세계 3위한국이 멕시코 태국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를 상대로 벌이는 관세 전쟁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예측됐다. 대미 무역 의존도가 높을수록 더 큰 피해를 본다는 이유에서다. 중국보다 미국의 성장률 둔화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 국가들이 받는 충격파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무역 갈등으로 세계 소비·투자 위축IMF는 22일 공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