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적인 '자원외교' 가시적 성과 속속

정부와 공기업, 산업계가 함께 아우러진 자원.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자원외교'를 모토로 내건 채 국내외에서 총력전을 펴고 있고, 이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에너지 공기업들은 해외 대형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그기 시작했을뿐 아니라 업계 역시 이에 맞물려 분주한 비즈니스 행보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26일 이명박 대통령과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 볼리비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볼리비아 리튬 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보장하는 양해각서(MOU)가 체결되기가 무섭게 27일에는 한국가스공사가 호주 LNG(액화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15억 달러 규모의 지분 참여를 추진중이라는 소식이 날아들었다.

에너지안보가 글로벌 이슈가 된 지 오래된 가운데 주요 국가들간의 자원확보 다툼이 사활을 건 외교전으로 번지는 상황에서 우리로서는 일단 낭보로 들리는 뉴스들이다.

이런 성과가 나오기 까지는 2000년대들어 전면화하기 시작한 범정부 차원의 자원외교 정책이 크게 기여했다는 정부 고위관계자의 전언이다.

국제석유 가격이 치솟으면서 에너지안보의 위기감과 필요성도 덩달아 상승하던 즈음인 2004년 노무현정부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을 방문하기 앞서 본격적으로 자원외교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이후 에너지기본법이 제정되고, 수많은 국가 위원회 가운데 유일하게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에너지위원회라는 범정부 기구를 가동했다.

이렇게 자원외교가 꿈틀대기 시작하면서 우리 공기업들이 리스크가 크지만 비용이 적게 드는 탐사광구를 확보하는 일들이 더러 생기기 시작했다.

노무현정부때 단초가 마련된 자원외교는 이명박정부 들어 튼실하게 다져지면서 질적, 양적으로 큰 방향의 전환을 이룬다.

정부가 굵직한 방향과 구상을 주도하는 데서 나아가 에너지 공기업의 대형화, 이를 위한 예산 등 각종 지원, 생산광구 지분 확보 등으로 공세적인 정책을 구체화하고 무게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게 된 것이다.

그 결과는 이처럼 결실이 눈에 띄게 늘어나는 양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당장 석유공사는 최근 영국의 석유탐사기업인 다나 페트롤리엄을 3조4천400만원 가량에 인수하기로 하고 마무리 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이 회사의 보통주와 전환사채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인수를 추진중이며, 이미 48.62%의 지분을 확보했다.

이런 식의 M&A가 가능한 것은 이미 범정부 차원에서 2조원의 '실탄'이 지원된 데 이어 앞으로도 2조원이 추가 투입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는 지식경제부 관계자의 귀띔이다.

석유공사는 앞으로도 일산(日産) 13만 배럴에 그치고 있는 자주개발 생산량을 2012년까지 30만 배럴로 끌어올리기 위해 계속 M&A를 추진키로 하고 다나 외에 여러 매물을 검토 선상에 올려놓고 저울질 하고 있다.

리튬 자원 확보에 앞장선 광물공사도 이번 볼리비아 이외에 칠레의 리튬과 민주콩고의 구리 등 아프리카 자원개발 확대에 진력할 계획이다.

민간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질 조짐이다.

리튬을 원료로 쓰는 2차 전지 업체들은 이미 삼성SDI는 칠레, LG화학과 상사는 볼리비아 쪽과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원료의 안정적 확보와 기술개발 및 교류, 투자 등이 가능할지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2차 전지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계획중인 포스코도 볼리비아 리튬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이번 MOU에 따라 출범하는 '리튬 산업화 연구 공동위원회'에 대우인터내셔널과 함께 참여하려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그밖에도 자원개발에 뒤따르는 플랜트 등 생산설비 건설에도 국내 업계의 관심이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공기업의 한 관계자는 "공격적인 자원외교가 구체적인 결실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좋은 소식을 많이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