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에서 지난해 내리막을 탔던 렌터카·중고차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자 '반사 특수' 전망이 퍼진 영향이다. 일부 기업은 행동주의 투자자가 지분을 사들이면서 구조조정 기대도 받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에서 렌터카 기업 허츠는 지난 10일부터 40.29% 상승한 5.71달러에 거래됐다. 한달 전 주가와 비교하면 51.46% 급등했다. 동종업계 기업인 에이비스 버짓은 지난 한 달간 22.79%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지수가 8.43% 빠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들 기업은 트럼프의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조치로 이득을 볼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수입산 자동차 가격이 오르면 새 자동차를 사느니 렌터카를 쓰거나 중고차를 사겠다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에서다. 허츠와 에이비스는 미국 전역에 걸쳐 대규모 차량을 렌터카로 운영한다. 일정 연식이 된 차들은 중고차로 판매한다. 미국 금융투자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인해 수입산 신규 차량 가격이 한 대당 평균 5000달러가량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수입차 가격 상승폭이 5000∼1만50000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소 4500달러 이상일 것이라고 앞서 분석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규 차량 중 절반은 한국, 멕시코, 일본, 캐나다 등에서 만든 수입차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기업은 작년 주가 기저효과도 보고 있다. 허츠와 에이비스는 지난해 주가가 각각 62%, 51%씩 빠졌다. 두 기업 모두 전기차가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고 전기차를 대규모로 매입했다가 수요가 둔화하면서 예
17일 코스피지수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와 미 중앙은행(Fed)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언급에도 저가 매수세 유입에 1% 가까이 상승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22.98포인트(0.94%) 오른 2470.41에 장을 마감했다. 0.17% 상승 출발한 코스피지수는 이날 오전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경계감이 발동하며 장중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연 2.75% 금리 동결 소식 이후 불확실성 재료가 소멸되면서 상단을 높였다.앞서 뉴욕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제한 수위 강화 여파로 반도체·인공지능(AI)주 매도세가 나오면서 주요 지수가 일제히 급락했다. 여기에 제롬 파월 미 Fed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까지 나오면서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이날 코스피 상승은 기관 투자자가 이끌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3630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3515억원과 1003억원 매도우위였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은 혼조세였다. 엔비디아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소식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0.91%와 0.57% 오르면서 선방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기아, HD현대중공업도 상승했다.태양광 소재 미 관세 면제 소식에 OCI홀딩스와 한화솔루션은 각각 15%대와 10%대 뛰었다. 태양광 업계에 따르면 태양광 밸류체인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과 웨이퍼는 미국 정부가 직접 발표한 1039개 관세 면제 품목(HTSUS)에 포함됐다. 해당 리스트는 미국이 직접 생산하기 어려운 품목들로 구성됐고, 금액으로 따지면 약 945조원에 달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43% 오른 81만5000원으로 마감하면서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금융당국은 이날 한화
※‘양지윤의 니가가라 나스닥’은 양지윤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목요일 한경닷컴 사이트에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태양광 모듈 점유율 1위 업체인 퍼스트솔라(티커 FSLR)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33% 떨어졌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를 내세우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집권하면서다. 그러나 최근 월가에서는 '강력 매수' 의견이 쇄도하고 있다.25일 미국 주식 플랫폼 스톡애널리시스에 따르면 애널리스트 27명 중 25명이 퍼스트솔라에 대해 매수 의견을 냈다. 매수를 권한 25명 중 12명은 '강력 매수'라고 평가했다. 평균 목표주가도 현재 주가인 124.38달러(현지시간 16일 종가)의 두배인 252.15달러다.월가에서는 퍼스트솔라를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유일한 수혜주'로 보고 있다. 미국 내에서 수직계열화를 이뤘기 때문이다. 가치사슬에 중국 기업이 포함되지 않았고, 매출의 93%이 미국에서 나온다. 저가 물량 공세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이 점령한 태양광 시장에서 상위 10위 안에 드는 유일한 비(非)중국 기업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분석이다.미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동남아 4개국에 대해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예비 결정했다. 동남아에 생산기지를 둔 중국 업체를 겨냥한 조치다. 퍼스트솔라의 생산량 절반은 말레이·베트남·인도에서 생산되지만, 나머지는 절반은 미국에서 제조돼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미국 내 생산시설도 확충하는 중이다. 퍼스트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