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이 올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세일즈앤드트레이딩(S&T)과 리테일 부문이 이익 증가를 이끌었다.현대차증권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71억원으로 전년 동기(131억원) 대비 106.2% 늘어났다고 24일 공시했다. 순이익은 193억원으로 89.3% 뛰었다.S&T 부문의 매출(순영업수익)이 1분기에 69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1% 증가했다. 구로 상업·업무용 빌딩 ‘지밸리 비즈플라자’의 지분 매각, 2조9000억원 규모의 은행채 인수 등이 수익 증대에 기여했다. 리테일 부문은 금융상품 판매 증가, VIP 고객 관리 강화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109% 늘어난 순영업수익을 거뒀다. 기업금융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조2125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인수하면서 수수료 수익을 확대했다.위험자산으로 분류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 비중은 축소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우발채무 규모는 약 6259억원으로 지난해 말(7087억원)보다 12% 가까이 줄였다. 순자본비율(NCR)은 지난해 말 478%에서 1분기 말 591%로 개선됐다.조아라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 산업 진흥을 위한 1호 업권법 '디지털자산기본법'의 발의를 앞두고 업계·학계 전문가들이 법안 세부 사항을 검토하는 자리를 가졌다. 다수 전문가들이 법안의 방향성과 속도감에 대해 긍정을 표했으나, 법안의 핵심 사안 중 일부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는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안 리뷰'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민병덕 더불어 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행사로, 내달 민 의원이 발의할 디지털자산기본법의 초안 공개와 더불어 초안에 대한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됐다.세미나 전문가 패널로는 △윤민섭 디지털소비자연구원 이사 △이상영 법무법인 YK 변호사 △이정민 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연구위원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 △원은석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 이사장 △이호성 이촌세무회계 대표세무사 등이 참석했다.민병덕 의원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한 이유에 대해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은 이미 빠르게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여전히 신중하게 가야한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업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속도감 있는 법안 발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때문에 민 의원은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에 '선 발의, 후 검토' 방식을 채택했다. 그는 "선제적으로 무엇인가 내놓고 이후에 검토를 거쳐 최종안을 발표하면 된다고 생각했다"며 "업계로부터 많은 의견을 듣겠다"고 전했다.민 의원이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에는 스테이블코인 인가제를 비롯한 디지털자산업 정의 및 육성, 디지털
대신송촌문화재단이 24일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 성금을 전달했다. 의료환경 개선과 모유 관련 연구 지원을 위해서다.대신송촌문화재단은 대신파이낸셜그룹의 사회공헌 재단이다. 그룹 창업주인 고(故) 양재봉 명예회장의 뜻을 기려 설립됐다. 이날 성금은 재단을 대표해 이어룡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왼쪽)이 전달했다.대신파이낸셜그룹은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의료 지원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2023년부터는 서울대 어린이병원에 성금을 전하고 있다. 소아 혈액암 등 난치병 연구비를 지원하고 의료환경 개선을 돕자는 취지다. 국립암센터에는 22년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아산병원과는 2021년 인연을 맺어 환아를 지원 중이다.이시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