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총저축률이 2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민간의 총저축 감소는 가계살림이 빠듯하다는 의미인 동시에 투자재원이 줄어 향후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기업 투자활동 위축(萎縮)을 불러온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총저축률은 30.0%로 5년연속 하락하며 1983년(28.9%)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따라 작년 국내 총투자율도 전년보다 5.2%포인트나 떨어진 25.8%에 그쳐 1998년(25.2%)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특히 가계저축률이 급락하고 있어 걱정스럽다. 개인순저축률은 지난해 3.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7개 회원국 평균치(8.3%)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OECD 측은 올해 가계저축률이 3.2%로 세계 최하위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과거 세계 최상위권 저축국가였던 우리나라였지만, 이제 심각한 성장잠재력 저하가 불가피할 정도로 저축률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저축률 상승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소득보다 부채가 많고 더 빨리 늘고 있어서다. 지난해 전국 가구당 평균 소득은 4131만원으로 전년보다 1.5% 증가했지만 부채는 4337만원으로 5.1%나 늘었다. 가계부채가 이토록 심각한 것은 전체 지출에서 부동산담보대출에 따른 이자와 교육비 등 경직성 경비의 비중이 높기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정부는 무엇보다 학원비 등 사교육비를 낮추고 부동산값을 안정시켜 가계 부담을 경감하는 데 정책의 주안점을 두지 않으면 안된다. 가계 역시 머지않아 금리인상이 예고돼 있는 만큼 미래 노후준비를 위해서라도 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줄이고 저축을 늘려 부채를 갚을 여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