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하는 경기 지표와 실제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체감 지표 간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물가지수가 대표적이다. 실제 가계에서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는 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훨씬 높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물가지수 산정 때 가중치가 높은 교통 통신 교육 등 서비스 요금이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농산물 가격 급등에다 각종 원자재값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확산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어 물가 안정세를 느긋하게만 바라볼 수 없는 형편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하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이런 관점에서 유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지난 1월 3.1%였던 소비자물가지수는 2월과 3월에 각각 2.7%,2.3%로 하향세를 보였다. 정부는 4월 물가도 2%대의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의 가격 상승세가 만만치 않다. 특히 최근 이상저온에 따라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세다. 채소 과일 어류 등 51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3월에도 전년 동월 대비 8.7% 상승했다. 배추 가격이 104.3%나 폭등했고 감자(42.3%) 갈치(27.1%) 국산 쇠고기(20.8%) 가격도 많이 올랐다. 휘발유(10.4%) 경유(12.8%) 가격 오름세도 만만치 않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국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최근 아시아 전역에 이상기온 현상이 나타나면서 아시아 농산물 가격이 일제히 급등하고 있다. 일각에선 농산물발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다 철광석과 원유 등 원자재 가격도 기업들의 채산성을 위협할 정도로 올랐다. 하반기에는 공공요금 인상도 예상된다. 물론 최근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금융위기 이후 풀린 과도한 유동성과 직결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든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되면 기대 인플레이션 심리를 차단하기 위한 정부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래저래 출구전략에 대한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기획재정부는 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내놓는다. 재정부는 빠른 경기 회복에도 아직 대외 변수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지금의 거시정책 기조는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최근 윤증현 재정부 장관이 '저금리 폐해론'을 제기하는 등 일부 미묘한 변화가 엿보이고 있어 출구전략 시행 시기에 대한 진전된 표현이 나올지 관심이다.

경제부 차장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