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어제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에서 앞으로 5년간 엔지니어링 연구개발에 총 1조원을 투자키로 하는 등 엔지니어링 산업 발전방안을 내놨다. 지난 20년간 존재했던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을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으로 확 바꾸면서 정부가 수립한 첫 종합대책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

엔지니어링은 건설 플랜트 조선 원자력 등과 같은 산업에 기술과 지식을 접목해 부가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말 그대로 지식집약 서비스산업의 대표적 분야로 꼽힌다. 문제는 엔지니어링의 전체 가치사슬 측면에서 볼 때 시공 등 저수익 영역에서는 우리가 강세이지만, 해외시장에서 턴키방식으로 발주(發注)되는 대형 프로젝트의 수주경쟁력을 결정적으로 좌우하는 프로젝트 종합관리, 개념설계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서는 글로벌 선진기업들이 거의 독점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 엔지니어링 시장은 연평균 17%의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해외시장 점유율이 0.4%에 불과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을 5%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핵심 원천기술 자립화, 인력양성,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 6대 추진대책을 제시했다. 단기적 성과로만 따지면 해외진출 지원 등이 우선순위가 되겠지만 멀리 내다보고 이 산업을 제대로 육성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우수인력의 양성과 엔지니어링 수가의 현실화라는게 우리 생각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우선 엔지니어링 연구개발 투자가 제대로 성과를 거두려면 인력양성이 함께 따라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선진국이 장악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영역인 프로젝트 종합관리, 개념설계 등의 분야에서 역량을 키우겠다면 더욱 그렇다. 그리고 인력양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 엔지니어링 가치를 합당하게 평가해 주는 일이다. 20년 전에 정해진 엔지니어링 수가로부터 과감하게 탈피하지 않는 한 우수인력이 몰려들 리 만무하고, 경쟁력이 제고되기 어려울 것은 뻔한 이치다. 정부는 엔지니어링 수가를 2013년까지 단계적으로 현실화하겠다고 하지만 요율체계 개선은 빠를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