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호남지역의 성인남성이 영남·강원지역 남성보다 술·담배를 적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전국 보건소를 통해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 결과,흡연율과 음주율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성인남성의 흡연율은 전북이 43.1%로 가장 낮고 광주(43.2%),전남(47.6%)이 뒤를 이었다. 강원·제주 각 53.2%를 비롯,부산(51.5%),경북(51.3%),경남(50.8%),대구(49.4%)는 ‘골초’ 지역에 속했다.시·군·구별로는 흡연율이 가장 낮은 경기 과천시(31.9%)와 가장 높은 강원 태백시(62.4%)간에는 무려 30.5% 차이가 났다.

성인의 월간 음주율도 시·도간 최대 11.4%의 차이를 보였다.경남 마산시(67.7%)와 부산 사상구(66%)가 ‘주당’ 지역으로 꼽힌 가운데 부산(60.2%),울산(59.1%),강원(58.9%),경남(57.8%)이 높게 나타났다.전북 임실군(36.3%)과 경북 영양군(42.3%),전북(48.8),전남(53.4%),대전(53.4%)은 음주율이 낮았다.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비만인구의 지역별 분포도 차이를 보였다.강원 철원군(30.4%)과 경기 가평·연천군,시흥시가 각 28.7%로 비만인구가 많았다.경기 성남시 분당구(14.8%)와 전북 남원시(16.8%)는 날씬한 체형이 대다수 였다.

시·도별로도 광주는 20.1%로 비만인구가 가장 적은 반면 강원은 26.3%로 가장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비만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걷기운동 실천율(30분 이상 걷는 날이 일주일에 5일 이상인 사람의 비율)에서도 하위권으로 처졌다.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전남 장흥군(6.5%)과 고흥군(7.8%)이 낮은 반면 인천 서구(39.2%),대전 대덕구(38.4%),경기 평택시 송탄(38.1%)은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전국건강지도를 내놓기로 했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