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증시 '동반 강세'…관세 불확실성에 변동성 커져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14일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78% 오른 4만524.79, S&P 500지수도 0.79% 뛴 5405.97, 나스닥 지수 역시 0.64% 상승한 1만6831.48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대중(對中) 상호관세 면제 방침에 중국에서 아이폰 대다수를 생산하는 애플 등의 수혜가 예상되면서 매수 심리가 강화된 영향으로 보입니다. 일단 이날 증시는 주요 지수 동반 상승으로 마감했지만, 관세 정책이 수시로 출렁이는 탓에 당분간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14일 “자동차 업체 일부를 돕기 위한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 자동차 부품의 일시적 관세 면제를 시사했습니다. 그는 이날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면서 질의응답을 통해 “자동차 회사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면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관세가 더 많을수록 회사들은 더 빨리 (미국으로) 이전한다”면서도 관세 예외나 면제 계획에 대해선 “나는 내 마음을 바꾸진 않았지만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고 여지를 뒀습니다.◆ 베선트 "한국과 다음주 무역협상 진행할 것"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현지시간 14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다음주 한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협상이 빠르
내수 부진에 따른 소비 위축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초저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뷰티·패션 등으로 상품군을 확장하고, 온라인몰 강화, 외국인 수요 발굴 등에 적극 나선 전략이 주효했다. 500~5000원대의 저가 상품 판매만으로 10%에 가까운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유통 강자’로 진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마진 뷰티' 최대 실적 견인15일 아성다이소에 따르면 다이소는 지난해 매출 3조9689억원, 영업이익 371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다. 매출은 1년 전보다 14.7%, 영업이익은 41.8% 급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9.35%로 이마트(0.16%) 쿠팡(1.46%)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았다.다이소 연간 매출은 2022년 2조9457억원에서 2023년 3조4604억원으로 늘어난데 이어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등 매년 급증하고 있다. 2014년 1조원, 2019년 2조원을 돌파한 것을 고려하면 5년마다 2배씩 매출이 늘어난 셈이다.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1~3월 카드 결제 추정액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3월에는 8.1% 늘어난 1858억원에 달했다.다이소가 급성장한 주요 배경으로는 상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미국의 관세 영향으로 올해 세계 원유 수요 증가 예측치를 낮췄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OPEC은 월간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석유 수요가 하루 130만배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달 예측보다 하루 15만 배럴 감소한 수치이다. OPEC은 "최근 무역 관련 동향으로 단기적으로 세계 경제 성장 전망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OPEC의 추정치는 업계내 전망 가운데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지난 주 올해 석유 소비 증가율을 하루 90만배럴로 30%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 그룹은 올해 석유 소비량이 하루 50만 배럴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 에너지지구(IEA)는 세계가 점차 깨끗한 연료로 전환함에 따라 향후 10년내에 수요가 정점에 달하고 이후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