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기업에 청년인턴으로 취업한 이들의 정규직 전환율이 80%를 웃돌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기획재정부와 노동부 등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중소기업에 채용된 청년 인턴은 모두 3만2천860명으로 이 중 8천685명의 인턴 기간이 종료됐다.

또 인턴 기간이 종료된 이들 중 81.2%인 7천5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이는 정부의 당초 목표 전환율 70%를 넘어선 것이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는 만 15~29세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정부가 임금의 절반을 6개월간 지원하고 정규직으로 전환된 뒤에도 추가로 6개월간 임금 절반을 지원하는 제도로, 인턴 1명당 월평균 65만원 가량이 지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에도 2만5천명 가량의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모집한 행정인턴과 공공기관에 취업한 청년인턴은 지난해 채용목표를 초과했으나 인턴기간 종료 이후 구직자들의 진로는 중소기업 청년인턴과 달랐다.

중앙 행정인턴의 경우 연인원 7천명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에서 채용이 이뤄졌고, 작년 11월1일 현재 4천69명이 중도퇴직, 취업, 기간종료 등 이유로 그만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45.7%인 1천861명은 다른 직장을 구한 뒤 인턴직을 그만뒀고, 나머지는 학업수행, 취업준비, 기타 사정 등 이유로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인원 1만3천여명을 채용했던 지방 행정인턴은 20~30%가량이 다른 직장을 구해 나갔으나 나머지는 학업수행, 개인사정 등 이유로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기관의 경우 당초 목표를 초과한 1만3천여명의 청년인턴을 채용했다.

또 작년 11월말 기준으로 340여명이 인턴 종료후 정규직이나 계약직으로 채용됐고, 이후에도 일부 공공기관이 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행정.공공기관 인턴이 급한대로 청년 구직난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긴 했지만 정규직 전환을 기대하거나 다른 직장을 구하기 위한 경력관리를 의도했던 인턴들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진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인턴 형태에 따라 인턴기간 종료 후 진로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제도 자체의 목적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인턴제는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구직자들의 취업난을 동시에 해소하기 위해 처음부터 정규직 전환을 목표로 시행된 제도인 반면 행정.공공기관 인턴제는 극심한 청년 구직난에 조금이나마 숨통을 터주려고 마련됐다는 것.
정부 관계자는 "공무원에 채용되려면 공무원 시험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행정인턴은 처음부터 정규직 전환의 길이 사실상 막혀 있었다"며 "공공기관 역시 구직자가 몰리는 인기직장이어서 대규모의 정규직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