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ㆍ일 공동 TF팀 만든다 "아시아를 문화콘텐츠 허브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일 '콘텐츠산업포럼'서 발표
한 · 중 · 일 3개국이 급성장하고 있는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정부 간 협력 채널을 가동하기로 했다. 서구가 주도하고 있는 세계 콘텐츠시장에 동양 3국이 3각편대를 결성해 맞대응하겠다는 의미여서 귀추가 주목된다.
3국의 문화콘텐츠 정책을 담당하는 차관(급) 수석대표들은 2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개막하는 '제8회 한 · 중 · 일 문화콘텐츠산업 포럼'에서 콘텐츠산업의 공동 현안과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합의문을 발표한다. 개막식에는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구양견 중국 문화부 제1차관,다케이 도시유키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등이 참석한다.
한국 측 제안으로 도출한 이번 합의에 따라 한 · 중 · 일은 앞으로 4명씩 12명의 TF팀을 구성한다. 이들은 3개월마다 정례회의를 갖고 협력사업과 이행사항을 점검하며 매년 정기포럼에서 성과를 발표키로 했다. 또 인터넷 포털 등 공동 플랫폼 구축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3개국이 콘텐츠 분야에서 손을 맞잡는 것은 저작권 보호,게임의 역기능 예방,뉴미디어 비즈니스모델 창출 등을 위해 협력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인 PWC에 따르면 지난해 한 · 중 · 일 콘텐츠시장 규모는 2529억달러로 세계 최대인 미국(4658억달러)의 절반을 웃돈 데다 성장 속도에선 앞서 수년 내 세계 콘텐츠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일본 측은 미리 배포한 발제자료를 통해 인터넷상 불법 콘텐츠에 대한 검색과 삭제를 자동 요청할 수 있는 공동시스템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해적판을 단속하고 정규버전 콘텐츠에 대한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할 것도 촉구했다.
중국도 콘텐츠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7월 철강 자동차 등 10대 주요 산업에 이어 문화콘텐츠를 11번째 산업 진흥계획에 포함시킨 '문화산업진흥계획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중국에서 문화산업이 국가산업 진흥계획에 정식으로 처음 포함됐다는 의미다. 2004~2007년 중국 문화산업 성장률은 17%를 넘어서는 등 3개국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중국 1인당 GDP는 3200달러를 기록,문화 소비가 활발해지는 1인당 3000달러 수준을 넘어섰다고 중국 측은 설명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3국의 문화콘텐츠 정책을 담당하는 차관(급) 수석대표들은 2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개막하는 '제8회 한 · 중 · 일 문화콘텐츠산업 포럼'에서 콘텐츠산업의 공동 현안과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합의문을 발표한다. 개막식에는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구양견 중국 문화부 제1차관,다케이 도시유키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등이 참석한다.
ADVERTISEMENT
3개국이 콘텐츠 분야에서 손을 맞잡는 것은 저작권 보호,게임의 역기능 예방,뉴미디어 비즈니스모델 창출 등을 위해 협력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인 PWC에 따르면 지난해 한 · 중 · 일 콘텐츠시장 규모는 2529억달러로 세계 최대인 미국(4658억달러)의 절반을 웃돈 데다 성장 속도에선 앞서 수년 내 세계 콘텐츠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일본 측은 미리 배포한 발제자료를 통해 인터넷상 불법 콘텐츠에 대한 검색과 삭제를 자동 요청할 수 있는 공동시스템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해적판을 단속하고 정규버전 콘텐츠에 대한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할 것도 촉구했다.
ADVERTISEMENT
이는 중국에서 문화산업이 국가산업 진흥계획에 정식으로 처음 포함됐다는 의미다. 2004~2007년 중국 문화산업 성장률은 17%를 넘어서는 등 3개국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중국 1인당 GDP는 3200달러를 기록,문화 소비가 활발해지는 1인당 3000달러 수준을 넘어섰다고 중국 측은 설명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