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가 내달 2일 런던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시련의 계절을 맞고 있다.

29일 가디언과 인디펜던트 등 영국의 주요 언론들은 경기부양 확대를 주장해온 미국과 공조체제를 취한 브라운 총리가 독일과 프랑스 등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온 국가의 설득에 실패함으로써 정치적 소득 없이 G20 정상회의를 마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G20 회의를 통해 국정 지지도 회복을 꾀한 브라운 총리의 현재 처지는 그야말로 `사면초가' 격이다.

독일의 시사잡지 슈피겔 최신호가 G20 회의에서 확정될 각국 정상간 공동선언 초안 내용을 보도하자 이는 초안에 부정적인 독일 관료들이 의도적으로 언론에 흘린 것이란 관측으로 번졌다.

공개된 초안에는 세계 각국이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해 2조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이 담겼다.

영국 총리 대변인실은 "이미 G20 각국을 상대로 소개된 기존의 낡은 제안일 뿐"이라고 그 의미를 절하했다.

그러나 이는 영국의 야심찬 계획이 독일과 프랑스의 강한 반대의 벽에 부딪혔다는 추측에 더욱 힘을 실어줬을 뿐이라고 일간 텔레그래프 지(紙)가 지적했다.

브라운 총리와 함께 31일 열리는 정상회의 사전회의를 주재할 케빈 러드 호주 총리 역시 29일 IMF의 금융지원 확대는 IMF가 결정할 몫이라며 이는 G20의 의제가 아니라고 일축했다.

앞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는 오는 7월 자국 사르디니아에서 열리는 G20회의에서 이를 다시 논의하자고 말해 브라운 총리의 힘을 빼놨다.

영국 총리 측은 이에 대해 G20가 올해 내에 이 사안을 다시 논의할 가능성은 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외환보유고가 풍부한 나라들이 돈을 풀 가능성 또한 높지 않다.

푸잉 주영 중국대사는 "외환보유고는 정부 재정이 아니며 중국은 여전히 개발도상국"이라고 말했다.

G20 성과 창출에 소극적이긴 영국 각료들도 매한가지다.

데이비드 밀리반드 외무장관과 이베트 쿠퍼 재무차관은 추가적인 공공지출 확대에 대해 논의하거나 합의를 시도한 일이 없다며 그 의미에 제한을 뒀다.

또 머빈 킹 영국 중앙은행(BOE) 총재는 정부의 최근 과도한 재정 적자 운용의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텔레그래프의 지난 주말판은 ICM 여론조사 결과, 데이비드 캐머런 당수가 이끄는 보수당이 집권 노동당을 상대로 13%포인트 가량 지지율 격차를 벌렸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