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산불 진화 작업에 투입된 임차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졌다. 지난달 26일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임차 헬기가 추락한 지 11일 만에 또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에도 노후한 헬기가 투입됐다가 추락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임차 헬기 운용 전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6일 경찰과 대구소방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사고 헬기는 이날 오후 3시41분께 서변동 야산에서 난 불을 끄기 위해 투입됐다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 대구 동구가 임차한 이 헬기는 1981년 제작된 벨(BELL) 206L 기종이다.추락 현장에서 약 50m 떨어진 밭에 있다가 사고를 목격한 시민 김영호 씨(70)는 “화재 진압을 위해 저수지에서 물을 퍼 나르던 헬기가 고도를 높이지 못한 채 멈췄다”며 “이후 헬기 뒤쪽 프로펠러가 비닐하우스 천에 걸리며 기체가 180도 뒤집혀 그대로 추락한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유일한 탑승자 정궁호 기장(74)은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정 기장은 경찰 항공대 출신으로 1981년부터 지금까지 44년간 헬기를 조종해온 ‘베테랑 조종사’다. 특히 1985년부터 25년간 충남·경기경찰청 등 지방 항공대에서 근무하며 크고 작은 재난 구조 현장에서 활약한 것으로 알려졌다.경찰과 국토교통부 등 관계 당국은 현장 수습을 마무리하는 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날 오후 3시12분께 발생한 산불은 한 시간여 만인 4시18분께 진화됐다.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한 것은 올해 들어서만 두 번째다. 지난달 26일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산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하던 강원 인제군 임차 헬기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미국이 국내 최대 염전업체에서 생산한 소금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노예와 다를 바 없는 강제노동에 시달리면서 만들어진 상품이라는 이유에서다.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태평염전의 천일염 생산 과정에서 강제노동이 이뤄졌다는 합리적 근거에 따라 ‘수입 보류 명령’(Withhold Release Order)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2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전역의 항구에서 태평염전 소금에 대한 수입이 중단됐다.CBP는 태평염전 조사 과정에서 노동자들이 신분증 압수, 협박, 사기, 폭행, 임금 체불 등 강제노동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행위는 모두 국제노동기구(ILO)가 규정한 강제노동 지표에 부합한다는 게 CBP 측 설명이다. 미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강제노동 문제로 제품 수입을 중단한 사례는 1994년 일본 이후 한국이 유일하다.전남 신안군 증도면에 위치한 태평염전은 국내 천일염의 약 6%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 단일 염전이다. 부지 대부분을 천일염 생산업자들에게 임대하고 있다. 생산업자 중 중 일부가 지적장애인을 상대로 ‘염전 노예’ 논란을 일으켜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었다.태평염전 측은 “문제가 된 임차인을 퇴거 조치했고, 노동자 숙소 건립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수입 금지 조치가 알려지자 태평염전은 지난 6일부터 자사 홈페이지를 폐쇄한 상태다.정희원 기자 tophee@hankyung.com
배달의 민족이 리뷰에서 '탄핵'이라는 단어를 금지해 네티즌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지난 4~5일 X(엑스·구 트위터)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배달의 민족이 리뷰 작성 시 '탄핵' 키워드를 넣지 못하도록 금지 시켰다는 글과 함께 인증샷이 여럿 올라왔다.6일 밤 실제 주문을 해 확인한 결과 리뷰란에 '탄핵'이라는 문구를 넣고 완료 버튼을 누르니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제한이 걸렸다. 탄핵 글자가 빨간색으로 바뀌고 '탄핵 키워드는 입력하실 수 없습니다. 다른 문구로 변경해 주세요'라는 안내가 떴다. 네티즌들의 인증샷도 모두 이와 동일하다.특히 한 네티즌은 "탄핵이라는 단어를 못 쓰게 해서 '탄햄부기' 먹었다고 썼는데 수칙 위반으로 리뷰가 삭제됐다는 알림을 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이를 두고 "앱을 탈퇴하겠다", "실망했다", "다른 앱은 막지 않는다" 등의 반응이 줄을 잇는 가운데, "정치색이 들어간 거지 않나", "음식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니 관리할 수도 있다" 등의 반대 의견도 나오고 있다.한편 배달의 민족 리뷰 운영 정책에서는 '리뷰에는 정치적, 사회적 분쟁을 야기할 수 있는 내용을 담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내용이나, 욕설 등 타인이 모욕감을 느낄 수 있는 표현을 금지하고 있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