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에서 지난 12일 오후 리히터 규모 7.8의 초대형 지진이 발생해 사망자만 1만여명에 이르는 대참사가 빚어졌다.

지진규모가 워낙 크고 피해지역 또한 광범위해 앞으로 사상자가 얼마나 더 늘어날지 짐작하기 어렵고,전염병 등 2차 피해의 확산(擴散) 우려도 높은 실정이라고 한다.

중국이 국가대사로 삼고 있는 하계 올림픽을 불과 80여일 앞두고 이 같은 대재앙에 휩싸인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중국 지도부는 즉각 이번 사태를 '국가 대재난'으로 규정하고,원자바오 총리가 직접 현장에서 인명구조와 피해복구를 진두지휘하고 나서는 등 재난극복에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유엔을 비롯한 미국 일본 러시아 유럽연합(EU) 등 국제사회 또한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정부 차원의 지원을 지시했다.

자연재난에 국가적 이해관계를 떠나 인도적으로 돕는 것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당연한 의무다.

더구나 오는 27일 이 대통령의 한ㆍ중 정상회담을 위한 중국방문을 코앞에 둔 상황이고,어느 때보다 긴밀한 양국관계를 감안할 때 더욱 각별한 관심과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번 피해 지역에 50여개의 우리 기업이 나가 있고,교민 또한 1000여명에 이르고 있음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은 별다른 재산이나 인명피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니 그나마 마음이 놓인다.

하지만 현지의 통신과 교통두절로 정확한 피해상황 파악이 어려운 실정임을 감안해야 한다.

만에 하나 우리 기업이나 교민의 피해가 없는지 보다 신속히 점검ㆍ확인하고 지원이나 구호가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는데 만전(萬全)을 기해야 할것이다.

특히 이번 중국을 덮친 대재앙에 우리 또한 경각심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크고 작은 규모의 지진이 빈발하고 있는데도 피해사례가 별로 없어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안전불감증이 만연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결코 지진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증거는 이미 속속 드러나고 있다.

대형 재난이 터지고 나서 수습에 급급하는 후진성을 탈피해 재난예측과 대비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주요 구조물 및 밀집 주거시설에 대한 내진대책 보완 등 안전대책 마련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