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로텔레콤 고객정보 유출사건을 계기로 개인정보 보호와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마케팅을 강조하다 보면 개인정보 관리가 소홀해지고,정보 관리에 무게를 두면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텔레마케팅은 직접 고객을 대할 수 있는 유통망(대리점 등)을 갖지 못한 업체들의 주요 마케팅 수단이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지 않으면 자칫 기업의 정상적 마케팅 활동도 위축시킬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고객에게 맞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마케팅하는 것은 해외에서는 일반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는 주민등록번호 등 범죄에 이용될 수 있는 정보가 폭넓게 사용되는 국내에서는 기업 간 정보제공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위원은 "국내 사업자들은 서비스와 무관하게 주민등록번호 같은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정부도 이를 체계적으로 감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높은 주민번호 노출 우려를 줄이고 관리를 강화한 뒤에야 개인정보를 이용한 기업 마케팅도 보다 유연하게 허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개인정보보호법과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내는 행정,통신,금융,의료,교육 등 개인정보와 관련된 법이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규제 권한도 정부 부처 곳곳에 흩어져 있다.

행정안전부도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연내에 통합법 형태의 개인정보보호법을 마련할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행안부와 협의해 연내에 주민번호 수집 등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