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곡물자급률(국내 생산/국내 소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를 기초로 OECD 회원국들의 곡물자급률(2003년 기준 통일)을 계산해 비교한 결과,한국의 곡물자급률은 25.3%로 29개국(자료 없는 룩셈부르크 제외) 가운데 26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9위인 아이슬란드가 북극권의 섬나라라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27,28위인 일본(22.4%) 네덜란드(21.2%) 등과 함께 곡물자급률 최하위권에 속해 있는 셈이다.

반면 프랑스는 곡물자급률 329%로 1위를 차지했고,체코(198.6%) 헝가리(153.7%) 독일(147.8%) 슬로바키아(140.6%) 등도 곡물자급률 100%를 크게 웃돌며 2~5위를 기록했다.

미국은 125.0%로 9위에 올랐다.

김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1인당 농지 면적은 작은 반면 소득 수준이 높거나 인구가 많은 일본 한국 중국 등과 같은 국가들이 곡물을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최근 남미와 북미에서 동아시아 3개국이 수입 쟁탈전을 벌이는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불안한 식량 수급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한편 품목별로 소비량의 일정 비율을 정해 비축하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심화되고 있는 수출국의 수출 규제에 맞서 품목별로 3~4개국 정도로 수입선을 다변화해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