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유전자 재조합 식품)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며 GMO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6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GMO가 식량수급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경규항 세종대 교수는 "곡물 자급률이 25% 수준인 한국은 식량자원 절대 부족국으로서 GMO 대응전략이 절실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경 교수는 "식량 자급력을 키우는 것은 한계가 있어 대외 여건상 안정된 공급책이 필요한데 국민들의 GMO에 대한 인식.수용 정도가 너무 낮은 실정"이라고 덧붙였다,그는 한국의 GMO 전략은 식량을 수출하는 유럽연합(EU)이 아니라 사정이 유사한 일본을 벤치마킹할 것을 조언했다.

박선희 식약청 바이오식품팀장은 "GMO 공급의 걸림돌인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성이 검증된 경우에만 시장유통을 허용하고,소비자들이 알고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표시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적으로 안전성 평가를 완료한 후 GMO가 상업화됐는데,지난 12년간 미국 등 GMO 생산국에서 이슈화된 사례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1996년만 해도 6개국이던 GMO 곡물 생산국이 지난해 23개국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세계 콩의 67%,옥수수의 25%가 GMO를 통해 생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현재 16개 작물 48개 품목을 개발중이며 식품업체들이 5월부터 GMO 곡물을 수입할 예정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