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유와 가스의 자주개발률을 앞으로 10년 동안 28%로 높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놨다.

자주개발률이란 국내에 도입한 자원 중 한국의 자본과 기술이 투입돼 생산된 물량 비중.석유와 가스의 경우 지난해 3.2%에 불과한데 10년 동안 이를 9배가량 높이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산업자원부는 최근 굵직한 해외유전 및 가스전에 대한 국내 기업 참여를 많이 성사시켜 목표 달성을 위한 초석이 다져졌다고 자평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목표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며 정부가 좀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 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주개발률 28%로 높아질까

자주개발률은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다.

에너지 위기가 발생했을 경우 국내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에너지 규모가 자주개발률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재훈 산자부 차관은 2016년 28% 목표에 대해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유전 개발 등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당장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는 않겠지만,10년이라면 그간 뿌려놓은 '씨'가 열매를 맺기에 충분한 시간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한국 몫이 2억배럴 이상인 대형 유전(가스전 포함)만 하더라도 서캄차카 해상광구,나이지리아 해상광구 등 5개에 이른다.

산자부 관계자는 "각 유전의 개발성공률을 15%로 잡았고 한국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유전이 전세계에 85개에 이르기 때문에 이번 목표가 과다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정도로 충분한가

전문가들은 자주개발률 28%가 현재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 여기에 만족해선 안 된다고 보고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자원을 외국에서 들여오는 일본의 경우만 하더라도 자주개발률이 현재 10%,2030년 목표는 40%다.

중국은 스스로 산유국임에도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서 유전을 확보하기 위해 엄청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자주개발률을 더 높이는 관건은 역시 '실탄'이다.

정부는 자주개발률 28%를 위해 10년간 매년 1조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하고,시중자금으로 자원개발펀드를 5조원 이상(연평균 5000억원) 조성키로 했다.

수출입은행과 수출보험공사도 관련 예산을 더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1억배럴 규모의 중소형 유전 한 곳을 사는데만 대략 20억달러 들어간다.

2년치 예산을 다 쏟아부어야 한다는 얘기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해외유전 입찰 때 중국업체가 써내는 금액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며 "재원이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외환보유고를 활용하자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제까지는 탐사광구 위주로만 접근했으나 앞으론 생산광구 확보에 신경써야 한다는 주문도 나오고 있다.

생산광구는 비용이 많이 들긴 하지만 성공확률이 높다는 차원에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산광구를 확보하고 있는 외국 유전개발업체를 아예 인수·합병(M&A)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꿔야 한다는 얘기도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