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의사와는 달리 불가피하게 직장을 떠나는 이직자가 외환위기 이후 7년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발표한 '비자발적 이직 실태 및 전직지원' 보고서에서 비자발적 이직자수가 1998년 61만4천992명에서 계속 증가하여 2005년에 124만8천681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상의는 비자발적 이직자가 증가하고 있고, 전체 이직자(자발적+비자발적)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커져 적극적인 전직지원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비자발적 이직자의 증가에도 불구, 2001년 7월 도입된 전직지원장려금제도의 지원실적은 2004년 31개 사업장 2천696명, 2005년 28개 사업장 1천440명에 불과하고 공공기관이나 단체를 통한 전직지원 실적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상의는 비자발적 이직자수가 급증하는 원인으로 '회사사정에 의한 퇴직권유', '(근로)계약기간 만료, 공사종료', '폐업, 도산, 공사중단' 등을 들고 '경영상 필요에 의한 퇴직(정리해고)'은 2002년 이후 증가추세이나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 비해서는 절반 이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상의는 특히 여성, 중고령자, 저학력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 비중이 높았다며 이들에 대한 정책적인 배려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직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남성은 32.1%, 여성은 40.4%였고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학력은 중졸 이하 집단에서 높게 나왔다.

상의는 "미국, 유럽 등에서 정착되어 있는 전직지원서비스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직지원서비스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거나 퇴직할 예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취업, 창업 등 퇴직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반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로자(효율적인 진로 개척 등), 기업(원활한 구조조정, 기업 이미지 제고 등), 정부(사회적 손실 예방, 인력의 사회적 활용 증진 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전직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들이 퇴직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경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전직지원서비스의 지원대상을 개별기업 차원에서 비자발적 이직자 전체로 확대하고 고용지원센터의 전직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퇴직자들의 경력을 종합적으로 관리,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현경숙 기자 k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