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직무 유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林貞希 < 밝은청소년 지원센터 상임대표 yourscenter@hanmail.net >
우리나라 청소년은 온갖 위기에 노출돼 있다. 세계에서 유래 없는 빠른 경제 성장,급격한 사회 변화,가정 문제의 급증 등은 그들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21%가 넘는 160만명 이상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가출,폭력,학업 중단,비행(非行) 등 위기에 처한 청소년이 40만명이고 방치할 경우 심각한 위기에 처할 중(重)위기군 청소년이 120만명에 이른다. 자살도 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908명이던 것이 2004년에는 거의 3배에 달하는 2560명의 청소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조사에 의하면 두 명 중 한 명의 청소년이 자살 충동을 경험했고 심지어는 여학생의 80% 이상이,남학생의 60% 이상이 자살 충동을 느꼈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청소년들이 마음의 장애와 병이 심각하다는 증거다. 이런 문제들은 성적,집안 형편과는 무관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느 누구도 "내 아이는 그렇지 않다"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을 정도다.
청소년들이 이 지경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어른들은 아직도 그 심각성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말로만 심각하다고 떠들어댄다. 부모들은 여전히 아이들의 성적에 집중한다. 정부의 6개 관련 부처에서 위기 청소년을 위해 투입하고 있는 비용은 정부 예산의 0.15%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교육청들의 예산을 보면 더 한심하다. 조(兆) 단위 예산의 교육청조차도 학교폭력을 포함한 생활지도 예산은 고작 1억원대로 0.01% 수준이다.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가르친다"고 하지 않고 "○○과목을 가르친다"고 말한다. 정치인들은 투표권이 없는 청소년들의 문제에는 진심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어른들이 청소년의 미래,즉 국가의 미래를 위해 해야 할 역할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이 직무유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인터넷의 확산이 이러한 경향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 누구에게 책임을 묻기 전에 모두들 자기 자리에서 청소년들의 마음에 장애가 생기지 않도록,마음의 병을 치유하도록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먼저 학교가 나서 보자. 학교와 선생님들이 지금 당장,직접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서 학교 문을 열자. 외부 전문 단체를 활용해서라도 청소년들이 자존감을 회복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거나 삶을 마감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힘을 모아 보자.
우리나라 청소년은 온갖 위기에 노출돼 있다. 세계에서 유래 없는 빠른 경제 성장,급격한 사회 변화,가정 문제의 급증 등은 그들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21%가 넘는 160만명 이상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가출,폭력,학업 중단,비행(非行) 등 위기에 처한 청소년이 40만명이고 방치할 경우 심각한 위기에 처할 중(重)위기군 청소년이 120만명에 이른다. 자살도 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908명이던 것이 2004년에는 거의 3배에 달하는 2560명의 청소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조사에 의하면 두 명 중 한 명의 청소년이 자살 충동을 경험했고 심지어는 여학생의 80% 이상이,남학생의 60% 이상이 자살 충동을 느꼈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청소년들이 마음의 장애와 병이 심각하다는 증거다. 이런 문제들은 성적,집안 형편과는 무관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느 누구도 "내 아이는 그렇지 않다"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을 정도다.
청소년들이 이 지경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어른들은 아직도 그 심각성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말로만 심각하다고 떠들어댄다. 부모들은 여전히 아이들의 성적에 집중한다. 정부의 6개 관련 부처에서 위기 청소년을 위해 투입하고 있는 비용은 정부 예산의 0.15%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교육청들의 예산을 보면 더 한심하다. 조(兆) 단위 예산의 교육청조차도 학교폭력을 포함한 생활지도 예산은 고작 1억원대로 0.01% 수준이다.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가르친다"고 하지 않고 "○○과목을 가르친다"고 말한다. 정치인들은 투표권이 없는 청소년들의 문제에는 진심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어른들이 청소년의 미래,즉 국가의 미래를 위해 해야 할 역할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이 직무유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인터넷의 확산이 이러한 경향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 누구에게 책임을 묻기 전에 모두들 자기 자리에서 청소년들의 마음에 장애가 생기지 않도록,마음의 병을 치유하도록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먼저 학교가 나서 보자. 학교와 선생님들이 지금 당장,직접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서 학교 문을 열자. 외부 전문 단체를 활용해서라도 청소년들이 자존감을 회복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거나 삶을 마감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힘을 모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