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4.5% 성장과 일자리 30만개 창출을 위해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투자촉진,서민경제 개선 등에 주안점을 둔다는 내용의 경제운용 방향을 어제 발표했다.

이를 위해 재정의 상반기 조기 집행,기업환경개선과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대책 등의 실효성있는 추진,상반기내 한·미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등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데 주력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거시경제 지표를 지난해보다 크게 낮춰잡은 것만으로도 올해 여건이 어느 때보다 비관적임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물론 정부의 경제운용 방향 그 자체에는 별로 이견을 달게 없다.

문제는 이같은 경제운용방향이 차질없이 추진되고 정책목표가 제대로 달성될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올해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안요소와 악재가 중첩돼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어느 것하나 목표하는 성과를 낼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당장 고유가나 북핵 사태 등의 불안요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환율과 부동산시장 불안,가계부채발 금융위기 가능성 등도 자칫 사태가 악화될 경우 경제의 근간을 흔들만큼 위협적이다.

올해 경제운용의 성패는 바로 이같은 난관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려 있는 셈이다.

철저한 위기관리가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얘기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것은 올해말 대통령선거를 앞둔 정국혼란이 정책의 일관성을 흔들고 경제의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대선 정국이 과열되면서 정치논리가 경제논리보다 우선하게 되고,또다시 포퓰리즘 정책이 남발될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이 경우 경제정책의 정상적인 운용이 뒤틀리고 재정불안이 가중되면서 내년 이후의 경제에도 심각한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성장자원의 합리적 배분마저 크게 왜곡될수 밖에 없다.

대선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고 정책 추진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는 어느 때보다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될 이유다.

저성장 늪에 빠진 우리 경제의 활력회복을 위해서는 성장우선 정책을 바탕으로한 투자확대가 가장 급선무임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기업투자 활성화에 정책운용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규제개혁 등을 포함한 특단의 정책수단을 강구하는 동시에 이를 차질없이 실행할 수 있는 일관된 정책 리더십의 확보가 시급하다.

당면과제인 성장동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도 그럼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