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어제 청와대에서 참여정부 들어 네 번째 대·중소기업 상생협력(相生協力) 회의가 열렸다.

업종별 상생협력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지역선도 대기업이 주도하는 상생형 지역혁신 클러스터 모델을 개발키로 한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노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이건희 삼성,정몽구 현대차,구본무 LG,최태원 SK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를 따로 만나 상생협력의 성과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한다.

주요 대기업들이 경기부진과 환율하락 등으로 열악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評價)한 셈이다.

실제 대기업들은 최근 들어 중소기업과의 협력사업을 크게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30대 그룹만 해도 내년도 상생경영 투자규모를 약 2조원으로 책정해 올해보다 36%나 늘릴 예정이라고 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새삼 설명할 필요도 없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이 없으면 생존 자체부터 힘들고 대기업 또한 중소기업의 튼튼한 뒷받침이 없으면 경쟁력을 확보키 어렵다.

중소기업에의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산업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은 국가경쟁력 제고에도 보탬이 될 게 틀림없다.

따라서 상생경영은 앞으로 더욱 활성화시키지 않으면 안 될 과제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가 제조·판매 상생협의회,전력·전기산업 전문투자조합 등의 협력프로그램을 도입하고 2,3차 협력업체까지 대상에 포함시켜,상생협력을 보다 다양한 업종으로 확산하는 한편 그 혜택을 보다 광범위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상생협력을 반영한 지역산업 로드맵을 수립(樹立)하고 지역선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상생형 지역혁신 클러스터 모델을 개발키로 한 것도 추진해 볼 만하다.

한 가지 지적해 둘 것은 정부가 기업들의 사적인 영역에 지나치게 많이 개입하거나 대기업의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는 점이다.

기업들은 저마다 처해 있는 사정이 다른 만큼 나름의 형편에 따라 최선을 다하면 될 일이다.

대기업 의존이 심화될 경우 중소기업의 자생력(自生力)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기업 간 협력은 업계 스스로의 필요성에 따라 이뤄질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은 결코 잊어선 안 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