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인 공시가격 6억원 초과 아파트가 올해보다 10만가구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30일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 말 현재 '평균 시세의 80%가 6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수는 29만7440가구로 지난해 말(16만1057가구)보다 13만6383가구(84.68%) 증가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 13일부터 내년도 종부세 등 과세 기준이 될 공시가격(1월1일 기준) 산정을 위한 현장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최근 집값이 보합세인 것을 감안하면 현 시세(거래가)의 80% 선에서 내년 공시가격이 책정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말 시세의 80%가 6억원을 넘은 아파트 수는 12만3816가구였으나 현재는 21만4098가구로 72.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성동구가 지난해 말 132가구에서 현재 1627가구로 1132.5% 증가했고,동작구가 241가구에서 2966가구로 1130.7% 늘었다.

6억원 초과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로 6만8188가구에 달해 지난해(4만2938가구)보다 58.8% 증가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말 3만6305가구에서 현재 8만636가구로 122.1% 늘었다.

이 가운데 고양시는 지난해 628가구에서 올해 1만1692가구로 상승률이 전국 최고치인 1761.7%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양주시는 지난해 말 134가구에서 912가구로 580.6% 각각 늘었다.

경기 광주(120가구),군포(807가구),김포(74가구),수원(644가구),의왕(206가구),파주시(66가구) 등 6곳과 서울 관악(263가구),노원(290가구),성북(186가구),중구(982가구) 등 4곳은 올해 처음으로 시세의 80%가 6억원을 넘는 아파트가 등장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