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도 최근 '제3기(2006~2010) 과학기술기본계획'을 내놓고 해외 고급 두뇌를 끌어들이는 데 본격적으로 나섰다.

일본 정부는 특히 아시아 인재 유치에 공을 들인다.

'아시아 인재기금'을 설립해 학·석사과정에 있는 아시아계 유학생 2000명에게 월 20만~30만엔의 장학금을 지원하기로 하고 내년에 60억엔의 예산을 별도로 배정해둔 상태다.

고급 두뇌를 유치하기 위한 각국의 '인재 허브' 경쟁이 치열하다.

핵심 인재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곧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인재 육성이 하루이틀에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고급 두뇌를 유치하는 일은 사실상 제로섬 게임이나 다름없는 그야말로 전쟁터다.

LG경제연구소 배민근 연구원은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노동·설비와 같은 생산요소에서 지식과 아이디어 감수성 같은 무형의 요소로 바뀌고 있다"면서 "인적자원의 유동성도 크게 늘어 국내 고급 두뇌의 유출을 줄이고 해외 인재를 끌어오지 않고서는 경제 발전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미국의 조지 부시 대통령은 올해 2월에 내놓은 '미국 경쟁력 제고 구상(American Competitive Initiative)'을 통해 향후 10년간 R&D분야에 500억달러를 지원하고 860억달러 수준의 세금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공언했다.

프랑스의 경우 현재 7%인 외국인 학생 비율을 장차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IT분야 독일은 튜터식(독일식) 아이비 리그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은 상태다.

인재 유치 측면에서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캐나다는 미국에서 캐나다로 들어오는 자국 시민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세금을 거의 부과하지 않는 면세 제도(tax holiday)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한국의 '인재 허브'유치 노력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국가 성장동력이 사라질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훨씬 더 적극적인 해외 인재 유치 전략을 내놓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