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과 중국,미국의 외교적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가능성은 일단 낮아졌으며 북·미 간 군사적 긴장도 소강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22일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내주 초 중국을 방문,리자오싱 외교부장을 만나 미사일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현 단계에서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자는 데 한·미·일 외무장관의 뜻이 모아졌다"면서 "특히 대북 영향력이 있는 중국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중 외무장관 회담에서는 북한의 요구사항을 논의하는 차원에서 6자회담의 재개방안도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미국과의) 정면대결보다는 협상에 나서려는 의중을 내비친 만큼 가급적 협상의 모멘텀을 살려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6자회담이 늦어도 9월에는 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중국을 통해 북측에 6자회담 복귀시 미사일 주권문제나 대북 금융제재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자제할 경우 6자회담에서 미사일 문제를 포함해 관계 정상화 문제를 전면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 방침을 우리측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북한이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있다면 6자 회담에 나와 제기해야 할 것"이라며 "그렇게 하면 우리가 평양 방북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다소 변화된 입장을 제시했다.

한편 열린우리당 최성 의원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동 해법을 찾기 위해 한·미 정상회담을 조기 개최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성사여부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필요하다면 양 정상이 만날 수 있지만 현 단계에서 추진되거나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